순상화산

순상화산

[ aspite , 楯狀火山 ]

요약 움직임이 큰 용암이 완만하고 엷게 널리 퍼져서 폭발활동에 의한 화산쇄설물은 매우 적은 양 밖에 나오지 않아 경사가 완만한 화산을 말한다. 아스피테라고도 하며 멀리서 보면 용암대지처럼 보인다.
한라산

한라산

아스피테라고도 한다. 유동성이 큰 용암(현무암 또는 안산암)이 완만하고 엷게 널리 유출하여, 폭발활동에 의한 화산쇄설물은 극히 소량밖에 나오지 않아, 서양의 방패를 엎어놓은 것같이 보이는 완경사의 화산이다. 산정 가까이의 급경사부도 10 ° 이하이며, 기슭의 들은 2∼3 °로 산체에 비해서 산의 높이가 낮고, 멀리서 보면 용암대지(熔岩臺地)처럼 보인다. 한라산도 순상화산 중 하나이다.

하와이에는 현무암으로 된 규모가 큰 순상화산이 많으며 대표적인 마우나로아화산은 해발고도 4,170 m, 기저의 지름 118 m, 산체의 경사 4~6 °로, 중심화구 이외에 거기에서 3~4 ° 방향으로 파출하는 방사상 열극에서 자주 분화하여 다량의 용암을 유출한다. 아이슬란드에도 순상화산이 많은데, 중심화구에서 유출한 용암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하와이형에 비해서 훨씬 규모가 작다. 화산활동이 왕성하고 고온의 유동성이 강한 용암의 분출에 의해서 형성된다고 한다.

순상화산 본문 이미지 1
순상화산용암대지성층화산종상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