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프리카화산대

동아프리카화산대

[ East African volcanic belt , 東─火山帶 ]

요약 아프리카대륙의 동부를 북북동에서 남남서로 뻗어 있는 대지구대(大地溝帶:破碎帶)를 따라 이어진 화산대.

아프리카동부화산대라고도 한다. 북쪽은 홍해를 거쳐 아라비아반도의 남서부까지 이르는 신생대 제4기의 화산대이다. 광의(廣義)의 활화산이 60여 개 있으며, 아프리카대륙에도 40여 개나 있다. 알칼리 암계(岩系)의 현무암유문암(流紋岩)이 용암대지 ·순상화산(楯狀火山) ·성층화산 ·용암 원정구(熔岩圓頂丘) ·쇄설구(碎屑丘) 등을 형성하나, 분화는 그다지 폭발적이 아니며, 때때로 용암호(熔岩湖)의 활동을 볼 수 있다. 특히 자이르의 동부에 있는 니라공고화산(3,470m)은 산정 화구에 용암호가 항상 존재하는 세계 유일의 화산이다.

그러나 주로 분화형식 관계로 유사 이래 그다지 심한 분화재해는 없었다. 암석은 일반적으로 칼륨이 많으며, 카보나타이트라는 특수한 탄산염 용암도 널리 알려져 있으나, 홍해 내에서는 알칼리가 적은 톨레이아이트질(質) 현무암이 분출된다.

참조항목

대지구대, 화산대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