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공급의 법칙

수요공급의 법칙

[ law of demand and supply , 需要供給─法則 ]

요약 어떤 상품에 관한 시장수요량 및 시장공급량과 시장가격과의 관계에 관한 법칙.

경쟁적인 시장에 있어서의 시장가격과 시장거래량은 수요자와 공급자의 상호교섭에 의하여 결정된다.

아래 [그림 1]과 같이 시장의 균형가격 및 균형거래량은 상품의 시장수요곡선 DD와 시장공급곡선 SS와의 교차점 E에 의해서 표시된다. 교차점 E를 시장의 균형점이라고 한다. 어떤 이유에서 시장가격이 시장의 균형가격보다 높아졌을 때, 그 시장가격에 대한 수요가 공급보다 작아지면 시장가격은 균형가격을 향하여 하락한다. 반대로 시장가격이 균형가격보다 하락하였을 때, 대응하는 수요가 공급보다 커지면 시장가격은 균형가격을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시장을 정학적으로 안정되었다고 한다.

수요공급의 법칙 본문 이미지 1

시장수요곡선 및 시장공급곡선은 수요자측과 공급자측의 경제적인 기초적 사정이 변화하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수요공급의 법칙 본문 이미지 2

[그림 2] 상단의 3가지 사례는 수요측의 기초적 사정의 변화(기호·소득의 변화)에 의해 각 가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시장수요곡선 DD가 오른편의 D'D'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하단의 3가지 사례는 공급측의 기초적 변화(생산비의 변화 등)에 의해 시장수요곡선 SS가 오른편의 S'S'로 이동한 경우를 보여준다. 시장수요곡선 및 시장공급곡선이 오른편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에 미치는 효과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시장수요곡선이 우하향이고 시장공급곡선이 우상향의 정상적인 사례 1에서는 시장수요곡선의 오른편으로의 이동은 균형가격·균형거래량을 다 같이 증가시키며, 시장공급곡선의 오른편으로의 이동은 균형가격을 하락, 균형거래량을 증가시킨다. 사례 2에서는 시장공급곡선이 우하향으로서, '수확체증의 법칙'이 성립된다. 이때 오른편으로의 시장수요곡선의 이동은 균형가격을 인상시키고 균형거래량을 감소시킨다. 오른편으로의 시장공급곡선의 이동은 균형가격을 인하시키고 균형거래량을 증가시켜, 수요증가의 효과와 반대 효과를 가져온다. 사례 3에서는 '기펜의 역설(Giffen’s paradox)'이 성립된다. 오른편으로의 시장수요곡선의 이동은 균형가격·균형거래량을 함께 증가시키며, 오른편으로의 시장공급곡선의 이동은 이들을 모두 감소시켜 수요증가의 효과와 공급증가의 효과와는 반대가 된다.

모든 사례에 대해서 다음의 특징을 지적할 수 있다. 오른편으로의 시장수요곡선의 이동은 반드시 균형가격을 인상시키며, 오른편으로의 시장공급곡선의 이동은 반드시 균형가격을 인하시킴으로써 균형가격에 관한 한 시장수요와 시장공급은 반대 효과를 가져온다. 균형거래량에 대한 효과의 경우, 시장수요곡선과 시장공급곡선의 오른편으로의 이동은 사례 1에서만 같은 방향을 나타내고, 기타 사례에서는 반대로 나타난다.

수요와 공급 양측의 기초적 사정이 동시에 변화하면 시장수요곡선과 시장공급곡선은 동시에 이동한다. 두 곡선이 모두 오른편으로 이동할 때 균형가격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하다. 이것은 2개의 곡선 중 어느 쪽이 크게 이동하느냐에 의존한다.

기초적 사정의 변화에 의해서 시장수요곡선이 오른편으로, 시장공급곡선이 왼편으로 이동하면 모든 사례에서 균형가격은 상승한다. 균형거래량에 대한 효과는 사례 1에서는 불분명, 사례 2에서는 감소, 사례 3에서는 증가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수요법칙과 공급법칙 특정한 상품을 사고자 하는 수요자들이 일정 기간에 일정한 가격으로 구입하려고 하는 상품의 양을 수요량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이 햄버거 가게에서 1개에 5천원짜리 햄버거 100개를 사 먹으려고 한다면, 햄버거의 수요량은 100개가 됩니다. 햄버거 가격이 6천원일 때 사람들이 80개만 사 먹으려고 한다면, 햄버거의 수요량은 80개가 됩니다. 수요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요소에는 변화가 없다고 할 때, 사람들은 가격이 내려가면 더 사려고 하고, 가격이 올라가면 덜 사려고 합니다. 이때 가격과 수요량과의 관계를 수요 법칙이라고 하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수요곡선입니다. 한편, 상품을 생산하여 팔고자 하는 공급자들이 일정 기간에 일정 가격으로 판매하려는 상품의 양을 공급량이라고 합니다. 공급자는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생산량을 늘리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햄버거의 가격이 올라가면 햄버거 가게 주인은 직원을 더 채용해서라도 더 많은 햄버거를 만들어 판매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처럼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의 공급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가격과 공급량의 관계를 공급 법칙이라고 하며,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공급곡선입니다. 경매 시장으로 가 봅시다. 생선 1마리 가격이 천원으로 제시되었을 때, 수요량은 4천 개인 반면 공급량은 2천 개인 경우, 수요자는 원하는 만큼 구입할 수 없게 되어 2천 개의 초과 수요가 발생합니다. 이때 값을 더 주고라도 사려는 사람이 나타남에 따라 가격이 올라가는데,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 법칙에 의해 수요량은 감소하고 공급 법칙에 의해 공급량은 증가하게 되어 초과 수요량이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한편, 수요자가 원하는 가격보다 높은 가격이 제시되면 팔려는 상품의 양보다 사려는 양이 적어지므로 경매인은 가격을 낮추어 제시합니다. 생선 한 마리의 값이 2천원일 경우, 수요자가 생선을 사려는 양에 비해 공급자가 팔려는 양이 더 많아지므로, 2천 개의 초과 공급이 발생합니다. 이때 공급자들은 생선을 먼저 팔기 위해 경쟁적으로 가격을 내리려고 할 것이고, 가격이 내려가면 공급 법칙에 따라 공급량은 감소하고 수요 법칙에 따라 수요량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점에서 시장 가격이 결정되는데, 이때의 가격과 거래량이 각각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입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