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잉여

생산자잉여

[ Producer's Surplus , 生産者剩餘 ]

요약 생산자가 상품을 시장에 판매할 때 얻는 수입이 생산자가 꼭 필요로 하는 최저수입보다 커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잉여. 

생산자가 자신의 상품을 시장에 판매하여 얻게 되는 수입이 자신이 상품을 생산하여 시장에 판매하면서 받아야하는 최소한의 수입보다 큰 경우, 실제 얻은 수입과 필수 최소 수입과의 차액인 여분의 수입을 의미한다.

 생산자잉여 본문 이미지 1

생산자잉여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수요곡선은 시장에서 주어지는 가격에 상품을 구매하려고 하는 양을 나타낸 점들을 이은 선이고, 공급곡선은 시장에서 주어지는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려고 하는 양을 나타낸 점들을 이은 선이다. 그림에서 수요곡선 위에 있는 점 b는 500원의 시장 가격에 10개를 구매하겠다는 점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점들을 연결한 것이 수요곡선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가격이 떨어지면 더 많은 물량을 구매하여 사용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보인다.

또한 공급곡선 위에 있는 점 c는 300원의 시장 가격에 10개를 판매하겠다는 점을 의미하는 데, 이러한 점들로 죽 이어진 것이 공급곡선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자는 가격이 올라가면 더 많은 물량을 생산하여 시장에 판매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보인다.  그림의 공급곡선은 생산자가 300원에서는 10개만 공급하다가, 가격이 400 원으로 올라가면 30개로 공급 물량을 늘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다른 시각으로 보면, 공급곡선의 각 점들은 해당 공급량을 생산하여 시장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꼭 이만큼의 가격은 받아야하겠다는 것으로도 해석이 될 수 있다.  즉, 10개를 생산하여 시장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300원은 받아야 한다는 것을 공급곡선 위에 있는 점 c가 보여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보다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하기에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과 거래량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균형점인 E에서 결정되는데, 이때의 시장가격은 P(400원)가 되고, 거래되는 양은 Q(30개)가 된다. 이때 생산자의 총 수입은 총 공급 물량(30개)에 시장가격(400원)을 곱한 12,000원이 되고 이를 그림에서 보면 사각형 P0QE의 면적과 같다. 그러나 생산자가 상품을 생산하여 시장에 공급하기 위해 꼭 받아야하는 최소 수입은 사각형 A0QE의 면적만큼이기에, 사각형 P0QE 면적에서 사각형 A0QE 면적을 뺀 삼각형 PAE의 면적만큼의 수입은 생산자가 추가로 얻게 되는 잉여 수입이 되고, 이를 생산자 잉여라고 정의내린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