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소리

서도소리

[ Seodo Sori (Folk Song of the Western Provinces) , 西道소리 ]

요약 평안도·황해도 등 관서지방의 향토가요. 1969년 9월 27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일 1969년 9월 27일
소재지 기타
기예능보유자 이은관(배뱅이굿), 이춘목(관산융마, 수심가), 김광숙(관산융마, 수심가)
종류/분류 무형유산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1969년 9월 27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짧은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된 민요와, 좀 긴 통절형식(通節形式)으로 된 잡가, 길게 뻗으며 한시(漢詩)를 읊는 시창(詩唱)에 경기도선소리가 옮아간 선소리[立唱]가 포함되며, 민요는 평안도민요와 황해도민요로 나뉜다. 서도소리의 선율은 흔히 수심가토리라 하여 위의 음은 흘러내리고, 가운데 음은 심하게 떨며, 아래음은 곧게 뻗는 특이한 가락으로 되어 있는데, 느리게 부르면 구슬픈 느낌을 준다.

평안도민요에는《수심가》 《엮음수심가》 《긴아리》 《안주애원성》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서도의 정서가 담긴 소리말을 매우 길게 질러내는 수심가가 대표적이다. 대개 사설이 길고 합창으로 되받는 소리가 없으며 장단도 일정하지 않고 보통 사설에 맞추어 적당히 친다.

황해도민요에는 《긴난봉가》 《산염불》 《자진염불》 《몽금포타령》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정(情)의 노래’라는 뜻의 《난봉가》와 《산염불》이 유명하다. 잡가에는 《공명가》 《사설공명가》 《적벽부》 《초한가》 《관동팔경》 《추풍감별곡》 《관산융마(關山戎馬)》 등 앉아서 부르는 좌창(坐唱)이 있는데 이 중에서 《공명가》가 유명하다.

잡가는 일정한 장단없이 3 ·4 ·5 ·6박 등 엇갈려나오는 가락에 아름다운 경치와 중국의 역사를 다룬 노랫말을 촘촘히 엮어서 부른다. 시창으로도 분류되는 《관상융마》는 조선 정조 때 신광수(申光洙)가 지은 한시를 시창 비슷하게 읊는 것으로 매우 유창하고 꿋꿋한 느낌을 준다.

대체로 서도민요의 특징은 콧소리로 얕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 큰소리로 길게 뽑다가 갑자기 콧소리로 변해 조용히 떠는 소리 등 장식음에 있으며, 기악 반주가 곁든 것이 적고 채보된 곡이 드물다.

소리꾼으로는 한말에 허덕선(許德善)이 유명하며, 김관준(金寬俊) ·최순경(崔順慶) ·이인수(李仁洙) ·김밀화주(金密花珠) 등과 같은 명창이 나와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서도소리가 크게 일어났다.

1969년 9월 27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이은관, 이춘목, 김광숙 등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