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립대학설립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 民立大學設立運動 ]

요약 1920년대 초반 실력양성운동의 일환으로 이상재ㆍ윤치호 등이 고등교육기관인 민립대학을 설립하려고 전개한 운동.

3·1운동 이후 일제가 문화정치를 표방하자 민족주의자들은 조선인의 실력양성을 표방하여 물산장려운동과 함께 민족교육을 위한 교육운동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1920년 6월 23일 한규설(韓圭卨), 이상재(李商在) 등의 발기로 ‘조선교육회’가 출범했으며, 학교 증설과 조선인 교육 차별 등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다 1922년 2월 일제가 조선교육령(朝鮮敎育令)을 개정하여 대학교육과 예비교육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자 조선교육회는 이른바 ‘내선공학(内鮮共學)’을 내세운 관립 제국대학 설립에 맞서 민립대학의 설립을 결의했다.

그래서 1922년 11월 이상재·현상윤(玄相允)·한용운(韓龍雲)·이승훈(李昇薰)·허헌(許憲)·송진우(宋鎭禹)·장덕수(張德秀)·이갑성(李甲成)·남궁 훈(南宮薰)·홍덕유(洪悳裕) 등 47명의 각계 인사가 서울에서 모여 민립대학기성준비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인 1923년 3월 29일 서울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1,170명의 발기인 가운데 462명이 참석하여 민립대학기성회 발기총회를 개최하였다.

총회에서는 “일본 정부가 내지인 교육시설은 완비해 놓고도 조선인 교육은 등한히 해 우민정책을 쓰므로 이제 더 이상 당국의 시책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조선인들의 힘으로 대학을 설립하자”는 결의가 이루어지고,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 1원씩”이라는 구호 아래 3년 동안 1천만 원의 민립대학 설립기금을 모금할 것을 계획하였다. 그리고 제1차 연도에는 400만 원으로 대지 5만여 평을 구입하여 교실 10동, 대강당 1동을 건축하고, 법과·경제과·문과·이과의 4개 대학 및 예과를 설치하며, 제2차 연도에는 300만 원으로 공과를 증설하고 이과와 기타 학과의 충실을 기하며, 제3차 연도에는 300만 원으로 의과와 농과를 설치한다는 것 등의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세웠다.

나아가 총회는 이상재·이승훈·조병한·김탁 등 30여 명으로 중앙집행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방에는 지방부를 두기로 결의했다. 1923년 4월 2일 제1회 중앙집행위원회가 소집되어 위원장에 이상재, 상무위원에 한용운·강인택·유성준·한인봉·이승훈 등 9명을 선출하고 지방선전위원 13명을 선정·파견하였다. 그 결과 1923년 말까지 전국 100여 개소에 지방부가 조직되고 만주 간도와 봉천, 미국 하와이 등지에도 지방부가 확산, 조직되었다. 이처럼 민립대학설립기성회는 중앙부(집행위·감사위·회금보관위)와 지방부를 조직하여 민립대학설립에 대한 선전과 모금운동에 착수했고 이승훈·조만식·안재홍·이갑성 등 유력자들은 지방순회를 하면서 도처에서 강연회를 열고 민립대학 설립취지를 천명하였다.

하지만 민립대학설립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조짐이 보이자 일제는 민립대학기성회가 배일사상을 고취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강연회를 중지하고 청중을 강제로 해산하는 등의 탄압을 자행하였다. 그리고 1923년 11월 조선제국대학창설위원회(朝鮮帝国大學創設委員會)를 구성하여 관립 경성제국대학의 설립을 서둘러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일제의 탄압 이외에도 민립대학설립운동 자체가 지닌 한계도 이 운동을 실패로 이끌었다. 민립대학설립기성회는 1923년의 모금 목표를 4백만 원으로 정했으나 실제 모금된 금액은 1백만 원도 되지 않았다. 이것은 애당초의 목표가 얼마나 과도하게 정해져 있었는가를 나타낸다. 당시 《동아일보》는 모금의 실패를 놓고 “아마 극도의 빈궁이 우리를 그러한 악덕에 빠지게 한 것이려니와, 우리는 금전욕을 희생하면서까지 지식욕을 충족할 만한 성의가 없다”고 평가하였으나, 오히려 당시 대다수 민중들이 일제의 식민지수탈 속에서 극도로 궁핍한 생활을 하고 있던 상황에서 모금에 의한 대학설립이라는 운동방법 자체가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1923년에 열린 ‘전조선청년당대회’에서는 1천만원으로 한 개의 대학을 세울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의 강습소와 농촌의 야학과 같은 대중교육의 보편화에 힘쓰는 것이 옳다며 민립대학설립운동을 반대하기도 했다. 결국 일제의 방해와 1923년부터 거듭된 수해와 가뭄 등의 재해로 모금이 지지부진하게 되면서 민립대학설립운동은 대학설립 신청조차 하지 못하고 끝을 맺었다.

역참조항목

조만식, 유진태, 현준호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