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하생경

미륵하생경

[ 彌勒下生經 ]

요약 미륵신앙의 근본 경전.
구분 불경
저자 축법호(竺法護)
시대 397년 중국 동진(東晋)

일반적으로는 397년 동진(東晋)의 축법호(竺法護) 역(譯)을 가리키나 학자에 따라서는 구마라습(鳩摩羅什) 역의 《미륵하생성불경》을 하생경의 대표적인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런데 이 축법호 역은 실제로는 초기 경전인 승가제파(僧伽提婆) 역의 《증일아함경》 권44의 제3경과 내용이 똑같기 때문에 축법호 역의 《미륵하생경》은 현존하지 않는다. 구마라습의 《미륵하생경》을 《미륵삼부경》 중의 하생경으로 볼 경우, 그 분량은 구마라습 역 《미륵성불경》의 1/3로서 이 하생경이 먼저 성립되고 그것이 확대되어 성불경이 성립되었다고 본다. 성불경의 설법 장소은 마가다왕국으로 되어 있으나 하생경은 설법 장소가 명시되지 않은 곳에서 사리불이 미륵을 만나기 위한 수행방법을 질문하는 데서 시작하여 성불경의 내용 순서와 동일하게 전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