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상생경요간기

미륵상생경요간기

[ 彌勒上生經料簡記 ]

요약 신라 신문왕(神文王) 때의 국로(國老) 경흥(憬興)이 쓴 《미륵상생경》에 대한 주석서.
구분 주석서
저자 경흥(憬興)
시대 통일신라 신문왕

현재까지 전하는 경흥의 《삼미륵경소(三彌勒經疏)》는 《미륵상생경요간기》 《미륵하생경소》 《미륵성불경소(彌勒成佛經疏)》의 3가지를 합친 것이다. 경흥은 《미륵상생경》은 중생들의 수준을 상 ·중 ·하로 나눌 경우 상품(上品)과 중품(中品)에 해당시켜 원효보다는 그 가치를 더 인정하며, 상생경의 내용은 대승과 소승에 두루 포함한다고 하였다.

그는 상생경을 해석하는 방법을 5부문으로 나누어, 첫째, 상생경의 가르침이 일어나게 된 배경, 둘째, 가르침의 근본이 무엇인가, 셋째, 경전의 진위문제, 넷째, 경전의 제목풀이, 다섯째, 경전의 문구해석을 하고 있다. 미륵경전은 모두 대승의 진리를 가진 것으로 의심될 수 없다고 하며, 특히 상생경은 미륵이 도솔천에 올라 널리 대승의 가르침을 펴고 중생을 즐겁고 이익되게 하는 경전이라 한다.

역참조항목

삼미륵경소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