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생

왕생

[ 往生 ]

요약 사람이 이 세상에서 죽어 다른 세상에 다시 태어남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
극락왕생

극락왕생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후 다른 세상에 가서 태어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서방 극락세계에 다시 태어날 것을 원하는 극락왕생(極樂往生), 의 불국토에 다시 태어나기를 원하는 시방(十方)왕생, 미륵보살이 계시는 도솔천에 다시 태어나기를 원하는 도솔(兜率)왕생 등이 있다. 극락왕생은 《무량수경(無量壽經)》을, 시방왕생은 《시방수원왕생경(十方授願往生經)》을, 도솔왕생은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을 소의경전으로 한다.
왕생이라 하면 이 중 특히 극락왕생을 말하는데, 의 에 태어나려는 정토신앙은 이를 목적으로 하는 가르침이며, 에서는 중생의 구제수단으로 이 사상을 널리 설법한다.

방법으로는 부처의 명호를 부르면 곧 왕생하는 염불(念佛)왕생, 선업을 쌓음으로써 왕생하는 제행(諸行)왕생, 염불의 도움으로 선업을 쌓아 왕생하는 조염불(助念佛)왕생, 부처의 이름을 듣고 왕생하는 문명(聞名)왕생 등이 있다. 또는 부처가 주신 믿음에 의해 보토(報土)에 태어나는 즉왕생(卽往生)과 자기 힘으로 화토(化土)에 태어나는 편왕생(便往生)의 2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즉왕생을 타력염불왕생, 편왕생을 자력염불왕생으로 보고 이에 제행왕생을 더해 3가지로 나누기도 한다.

한편, 정토진종에서는 신심을 얻을 때 바로 왕생이 정해진다는 즉득(卽得)왕생을 중생의 몸으로 사는 동안 어느 땐가에 왕생이 정해진다 하여 불체실(不體實)왕생이라 하고, 육체가 죽으면 왕생한다는 체실(體實)왕생과 대비시킨다. 그리고 한 번 죽어 새로 태어났다가 이후 왕생하는 것을 순차(順次)왕생이라 한다.

왕생 사상은 특히 불교의 대중화에 크게 공헌하였는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래 아미타신앙이 성하면서 육자진언, 즉 나무아미타불을 염하여 극락에 왕생하려는 신앙이 일반에 널리 전파되었다. 오늘날에도 극락왕생은 가장 대중적인 신앙형태로 남아 있다. 도솔왕생도 삼국시대 이래 미륵신앙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후일에는 《미륵하생경》에 의해 용화삼회(龍華三會)를 기다리는 미래신앙이 개혁사상으로서 더욱 민중과 가까워졌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