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만

남구만

[ 南九萬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서인(西人)으로서 남인(南人)을 탄핵하였다.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지냈다. 기사환국 후에는 유배되기도 하였다. 문집에 《약천집(藥泉集)》이 있다.
약천사

약천사

출생-사망 1629 ~ 1711
본관 의령
운로
약천 ·미재
시호 문충
주요저서 《약천집》

본관 의령(宜寧). 자 운로(雲路). 호 약천(藥泉) ·미재(美齋). 시호 문충(文忠). 1651년(효종 2)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5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정언(正言)을 지냈다. 1660년(현종 1) 이조정랑 ·집의(執義) ·응교(應敎) ·대사간(大司諫) ·승지(承旨)를 거쳐, 1668년 안변부사(安邊府使) ·전라도관찰사가 되고, 1674년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변방수비를 다졌다. 숙종 초에 대사성 ·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한성부좌윤을 지냈다. 서인(西人)으로서 남인(南人)을 탄핵하다가 남해(南海)로 유배되고,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 ·부제학 ·대제학 ·대사간을 역임하였다.

1683년 병조판서가 되어 폐사군(廢四郡)의 복치를 주장하여 무창(茂昌) ·자성(慈城) 등 2군을 설치하였다. 이때 서인(西人)이 노소론(老少論)으로 분열되자 소론의 영수가 되었으며, 1684년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87년 영의정에 올랐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江陵)에 유배되었다. 1694년 갑술옥사 때 다시 영의정에 기용되어, 1696년 중추부영사가 되었다. 1701년 희빈(禧嬪) 장씨의 처벌에 대해 경형(輕刑)을 주장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퇴관, 경사(經史) ·문장을 일삼았다. 송준길(宋浚吉)의 문하에서 수학, 문장과 서화에 뛰어났다.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는 그의 작품이다. 문집에 《약천집(藥泉集)》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남구만 약천 남구만 조선시대 숙종 때의 문신 (1629 ~ 1711)   약천(藥泉) 남구만 선생은 조선시대 숙종 때의 문신이자 서인 소론의 영수(領袖)로서 권농가로 불리었던 유명한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를 지어 남긴 인물이다. 남구만 선생은 송준길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옳은 말을 잘하여 주위의 모함을 받고 귀양살이를 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벼슬이 영의정까지 올랐고 말년 당파 싸움이 심해지자 물러나 전원에서 많은 시조 작품을 남겼다. 선생의 묘는 양주 불암산에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초부리로 이장하였으며 묘소 앞에는 묘비, 망주석 2기, 향로석 등이 세워져 있다. 묘지 아래 입구에는 신도비와 "동창이 밝았느냐~" 시가비가 세워져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