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술환국

갑술환국

[ 甲戌換局 ]

요약 1694년(숙종 20) 폐비민씨(廢妃閔氏) 복위운동을 반대하던 남인(南人)이 화를 입어 실권(失權)하고 소론과 노론이 재집권하게 된 사건.
언제 1694년 숙종 20년
어디서 조선왕궁
누가 숙종
무엇을 폐비민씨복위문제를 계기로 남인 실권, 소론과 노론 재집권
어떻게 희빈장씨 및 남인 처벌, 소론과 노론 요직에 등용
폐비민씨복위

남인은 1689년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힘겹게 집권했는데, 기사환국은 남인이 스스로 정치력을 발휘하여 집권한 것이 아니라 서인에 대한 숙종의 염증과 혐오 때문에 얻은 것이었다. 특히 궁녀였던 소의장씨를 두고 서인과 숙종의 갈등의 골이 깊었기 때문에 남인이 집권할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남인은 자신들의 실권을 항상 불안하게 여겼으며 언제든 또다시 실각할 수 있다는 긴장감을 늦출 수 없었다. 이런 와중에 당시 노론이었던 김춘택(金春澤)과 소론 한중혁(韓重爀) 등이 폐출된 인현왕후 민씨의 복위운동을 전개했는데, 함이완이 이런 사실을 남인 민암에게 고변하였고 집권파인 남인은 이를 계기로 반대당인 서인 일파를 축출할 목적으로 김춘택 등 수십 명을 체포하여 국문하였다.

이때 남인들은 민씨 폐출(廢黜)의 원인이 된 소의장씨(昭儀張氏:장희빈) 소생의 원자(元子) 정호(定號)에 정치적 생명을 걸고 있었다. 그런 판국에 만일 민씨가 복위하여 다시 왕비가 되면 남인은 또 실권하게 되므로 폐비민씨를 지지하는 김춘택 등 서인을 몰아내려고 하였다.

하지만 숙종의 심경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장씨를 총애하여 희빈(禧嬪:희빈장씨)을 삼았으며 아들을 낳자 나중에는 왕비로까지 책봉하였으나, 장씨가 차차 방자한 행동을 취했으므로 그를 싫어하고 민씨를 폐한 일을 후회하게 되었다. 게다가 장씨보다는 무수리 출신의 후궁 최씨(최씨는 후일 영조의 생모가 된다.)에게 마음을 두고 있었다. 게다가 궁중 내에서는 최씨의 독살설이 퍼지면서 남인들은 다시 정치적 위기에 내몰리게 되었다.

이런 정황으로 마침내 숙종은 남인이었던 민암의 처사를 문제삼았고 김춘택 등의 폐비민씨 복위운동을 옳게 여겨, 민암을 사사(賜死)하고 남인 세력인 권대운(權大運)·목내선(睦來善)·김덕원(金德遠)을 유배하였으며, 동시에 민씨를 지지했던 소론의 남구만(南九萬)·박세채(朴世采)·윤지완(尹趾完) 등을 조정의 요직에 등용하였다.

한편, 기사환국 이후 왕비가 된 장씨를 희빈으로 강등시켰고 그때 민씨를 지지하여 2번이나 상소를 올렸다가 사사한 송시열(宋時烈)을 비롯하여 김수항(金壽恒) 등에게는 작위를 내렸다. 이 옥사의 타격으로 남인은 완전히 정권에서 밀려나 다시 대두할 기회를 얻지 못하였고, 그 대신 서인이 실권을 잡게 되었으며, 그 후부터는 노·소론(老少論) 간에 쟁론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 사건을 갑술옥사(甲戌獄事) 또는 갑술경화(甲戌更化)라고도 하며 이후 남인의 정치력은 급격히 쇠퇴하였고 이후 집권하지 못했다.

숙종 집권기의 환국 정치

갑술환국 본문 이미지 1
경신환국기사환국갑술환국서인남인서인

붕당정치 연표

갑술환국 본문 이미지 2
동인동인동인서인서인서인서인서인북인북인북인남인남인노론소론붕당정치탕평정치세도정치노론노론사림기해예송갑인예송경신환국기사환국갑술환국탕평책탕평책예송시파벽파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