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론

소론

[ 少論 ]

요약 조선 후기 서인(西人)에서 분파된 정파(政派).

숙종 초기 정권을 장악한 남인허적(許積)을 중심으로 결집되어 서인과 대치하고 있었다. 1680년 남인의 이환(李煥)이 한성부 파자교동(把子橋洞)에 괘서(掛書)를 하여 서인세력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였고, 이듬해에는 허적의 장막어용사건(帳幕御用事件)이 발생하여 그가 영의정에서 파직되었다. 이에 더하여 서인 김석주(金錫冑)와 김익훈(金益勳) 등이 허적의 서자 견(堅)과 복창군(福昌君) 정(楨) 삼형제가 역모를 꾀한다는 내용의 고발사건이 발생하여 남인이 대거 정계에서 실각하고 서인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는 이른바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환국이 단행되었다.

이후의 처리과정에서 남인에 대한 처벌 문제를 놓고 서인 내부적으로 강경론을 주장하는 측과 온건한 해결을 주장하는 측으로 나뉘었는데 전자가 노론이고 후자가 소론이다. 이들의 대립은 송시열(宋時烈)과 그의 제자인 윤증(尹拯) 사이에 이른바 회이시비(懷尼是非) 문제가 가세되어 노장파인 송시열의 노론과 소장파인 소론으로 나뉘어 정치적 대립이 더욱 격화되었다.

노론과 소론의 대립이 극에 달한 것은 경종 때였다. 숙종 말 경종의 왕위계승을 지지했던 소론과 경종의 동생인 연잉군(延礽君:영조)을 지지한 노론 사이에 나타난 정쟁이 그것이다. 경종이 즉위한 후 노론들은 연잉군을 보호하기 위해 세제(世弟)로 책봉하고 대리청정(代理聽政)까지 추진하다가 소론의 반대에 부딪쳤다. 소론은 경종이 젊은데도 불구하고 노론들이 강제로 세제책봉과 대리청정을 추진하였으므로 그들을 역적으로 몰아갔고, 결국 신임옥사(辛壬獄事)와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이어지면서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이건명(李健命)·조태채(趙泰采) 등 이른바 노론을 이끄는 4대신이 처형됨으로써 노론과 소론의 대립은 왕위계승을 둘러싼 충역(忠逆)의 논리로 발전되어 갔다.

이로써 경종 때 소론이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경종이 재위 4년만에 죽고 영조가 즉위하자 입장이 바뀌어 노론들은 소론들을 탄압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영조 때 노론의 4대신이 신원되는 등 소론이 정권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영조는 노론과 소론의 대립을 없애기 위해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하였으나 영조 전시기로 볼 때는 노론 위주로 정국을 운영하여 갔다.

소론 본문 이미지 1
소론노론남인북인동인서인사림선조선조숙종김종직이이이황조식서경덕성혼

붕당정치 연표

소론 본문 이미지 2
동인동인동인서인서인서인서인서인북인북인북인남인남인노론소론붕당정치탕평정치세도정치노론노론사림기해예송갑인예송경신환국기사환국갑술환국탕평책탕평책예송시파벽파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