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기생

[ 妓生 ]

요약 춤 ·노래 또는 풍류로 주연석(酒宴席)이나 유흥장에서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官妓) ·민기(民妓)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藝妓)의 총칭.

그 원류(源流)는 신라 24대 진흥왕 때에 여무적(女巫的) 직능의 유녀화(遊女化)에 따른 화랑의 원화(源花)에서 발생하였다고도 하고, 정약용(丁若鏞)과 이익(李瀷)은 고려시대부터 생겼다 하여 “백제 유기장(柳器匠)의 후예인 양수척(楊水尺)이 수초(水草)를 따라 유랑하매, 고려의 이의민(李義旼)이 남자는 노(奴)를 삼고, 여자는 기적(妓籍)을 만들어 기(妓)를 만드니, 이것이 기생의 시초”라 주장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전쟁 포로 중 부녀자의 노비화, 사노비(私奴婢)의 매음녀화(賣淫女化:天官女의 경우), 신라시대의 가척(歌尺) 및 여악(女樂) 제자의 유녀화(遊女化) 등의 예를 추정할 수 있다. 고려 문종 때에는 팔관연등회(八關燃燈會)에 여악(女樂)을 베푼 것이 관기(官妓)의 시초라고도 하며, 여악은 후에 창기희(唱技戱)로 발전하여 조선시대에 들어와 많은 관기가 생겨 태조가 개경(開京)에서 서울로 천도할 때 많은 관기가 따라갔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관기 설치 목적은 주로 여악(女樂)과 의침(醫針)에 있었으며, 따라서 관기는 의녀(醫女)로서도 행세하여 약방기생, 또는 상방(尙房)에서 침선(針線:바느질)도 담당하여 상방기생이란 이름까지 생겼으나 주로 연회나 행사 때 노래 ·춤을 맡아 하였고, 거문고 ·가야금 등의 악기도 능숙하게 다루었다.

관기는 지방관아에도 딸려 지방관의 위락(慰樂)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역대의 왕이나 왕족으로 기생을 즐긴 예는 성종(成宗) ·수양대군 ·연산군 ·양녕대군(讓寧大君) ·안평대군(安平大君)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기녀들의 가무(歌舞)에 있어 지방적 특색으로는 안동기(安東妓)의 송대학지도(誦大學之道), 함흥기(咸興妓)의 송출사표(誦出師表), 관동기(關東妓)의 창관동별곡(唱關東別曲), 의주기(義州妓)의 치마무검(馳馬舞劍), 제주기(濟州妓)의 주마지기(走馬之技), 평양기(平壤妓)의 창관산융마시(唱關山戎馬詩), 북청기(北靑妓)의 치마지기(馳馬之技), 영흥기(永興妓)의 창용비어천가(唱龍飛御天敬) 등이 특히 유명하였다.

중종 때는 사회 풍기에 관해서 여러 가지 규제를 하는 가운데 의녀(醫女) ·창기(娼妓)의 연회 참여를 금지시킨 일이 있는데, 1510년 중종은 크고 작고간에 연회를 할 때 의녀나 창기를 부르는 것을 엄금하도록 사헌부(司憲府)에 명령하고 절목(節目)을 만들도록 하여 위반자는 물론, 의녀나 창기도 중벌로 다스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왕명이 얼마나 잘 지켜졌는지는 의문이다.

기생을 관장하는 기관으로는 기생청이 있었는데, 여기서는 가무(歌舞) 등 기생이 갖추어야 할 기본 기예는 물론, 행의(行儀) ·시(詩) ·서화(書畵) 등을 가르쳐 그들이 접대하는 상류 사족(士族)의 교양과 걸맞게 연마시켰다. 기생청은 후에 권번(券番)으로 개칭되어 기생청의 기능을 맡았거니와, 서울과 평양에는 기생학교가 있어 15세에서 20세까지의 처녀를 입학시켜 가음곡 외에 예의 ·서예 등을 가르쳐 예능과 교양을 겸비하도록 하였다.

기생의 배출지로 이름났던 곳으로는 서울 ·평양 ·성천(成川) ·해주(海州) ·강계(江界) ·함흥 ·진주 ·전주 ·경주 등이었다. 또한 시(詩) 등 문장으로 유명한 명기(名妓)로는 황진이(黃眞伊) ·매창(梅窓) ·소백주(小柏舟) 등이 있으며, 의기(義妓)로 유명하기는 평양의 계월향(桂月香), 진주의 논개(論介), 가산(嘉山)의 홍련(紅蓮) 등이 있다.

기생제도는 조선시대에 발전하여 자리를 굳히게 되어 기생이라 하면 일반적으로는 조선시대의 기생을 지칭하게 되며, 사회계급으로는 천민에 속하지만 시와 서에 능한 교양인으로서 대접받는 등 특이한 존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