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산업개발기구

유엔산업개발기구

[ 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 (UNIDO) ]

요약 개발도상국의 공업화 촉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연합 전문기구.
설립일 1967년
설립목적 개발도상국의 공업화 촉진
주요활동/업무 개발도상국의 공업개발에 필요한 조사, 계획입안, 기술원조
소재지 오스트리아 빈
가입국가 174개국 (2011)

1966년 제21차 국제연합총회의 결의로 종래의 국제연합공업개발센터를 계승하여 1967년 1월 국제연합총회의 보조기구로 발족했다. 1979년 UNIDO 헌장이 채택되고 1985년 그 효력을 발생함에 따라 1986년에 ECOSOC(Economic and Social Council: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와 특별협정을 체결하여 국제연합의 16번째 전문기구가 되었다.

개발도상국 공업개발 확대 및 근대화를 지원하고, 개발도상국간 또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간의 협력과 기술원조을 촉진한다. 국제연합 내의 공업활동과 관련한 중앙조정기관의 임무를 가지며, 개발도상국의 공업개발에 필요한 연구·조사·계획작성 및 기술원조를 행하고, 공업관계 표준화, 데이터 정보를 수집·분석·발행한다.

주요기관은 총회와 공업개발이사회, 기획예산위원회 및 사무국이 있다. 총회는 2년마다 개최되며, 공업개발이사회는 임기 4년의 53개 이사국으로 구성되는데, 기획예산위원회를 통해 제출된 기획 및 예산안을 검토·집행·감독하고 총회 결정사항의 이행을 점검한다. 기획예산위원회는 임기 2년의 27개 위원국으로 구성된다. 자원은 UNDP(United Nations Devlopment Program:유엔개발계획)로부터 제공되며, UNIDO는 UNDP사업의 집행기관으로서 역할을 한다.

회원국은 2011년 현재 174개국이다. 한국은 1967년에 가입했고, 1987년 4월 이래 UNIDO 서울투자진흥 사무소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본부는 오스트리아 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