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축옥사

계축옥사

[ 癸丑獄事 ]

요약 조선 광해군 때인 1613년에 일어난 옥사.

계축년(癸丑年)인 1613년(광해군 5)에 정인홍(鄭仁弘),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는 반란을 꾀했다는 구실로 반대파를 없애기 위해 벌인 옥사이다. '계축사화(癸丑士禍)' 혹은 '계축화옥(癸丑禍獄)'이라고도 하며, 이른바 '칠서(七庶)의 변'을 계기로 일어났다고 해서 '칠서지옥(七庶之獄)'이라고도 한다.

선조 말기에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광해군을 지지하는 세력과 영창대군을 지지하는 세력 사이에 갈등이 커졌으나, 1608년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대북파가 조정의 실권을 쥐었다. 정인홍과 이이첨 등은 영창대군을 지지하던 소북파(小北派)의 영수인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을 탄핵해서 사사(賜死)하였고, 영창대군과 그의 생모인 인목대비(仁穆大妃) 등을 몰아내려 하였다.

1613년 3월 조정 대신의 서얼들인 박응서(朴應犀), 심우영(沈友英), 서양갑(徐洋甲), 박치의(朴致毅), 이경준(李耕俊), 박치인(朴致仁), 허홍인(許弘仁) 등 7인이 문경의 새재[鳥嶺]에서 상인을 죽이고 은을 강탈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이첨 등은 그들을 붙잡아 심문하였고, 그들에게서 영창대군을 옹립해 인목대비의 수렴청정을 돕기 위한 거사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사건을 저질렀다는 자백을 받아냈다. 또한 이를 구실로 인목대비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을 사사하고, 영창대군을 서인으로 폐하여 강화도에 유폐시켰다가 이듬해 살해했다. 이후 신흠(申欽), 박동량(朴東亮), 한준겸(韓浚謙) 등 반대파 대신들을 조정에서 쫓아낸 뒤 정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난 후 이 사건은 이이첨 등이 박응서 등을 이용해 무고하여 일으킨 것으로 규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