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점

뼈점

[ 骨占(골점) ]

요약 동물의 뼈나 거북의 껍질 등을 이용해서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하는 점법(占法)

동물의 뼈나 거북의 껍질 등을 태우거나 불에 달군 도구로 지져서 갈라지고 깨진 모양을 해석하여 길흉화복을 점을 치는 방법으로 신석기시대부터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신석기시대 후기 룽산문화[龍山文化] 시대부터 뼈점[骨占]에 사용한 점뼈[卜骨]가 발견되었으며,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에서 로 발견되었다. 후대에는 뼈나 껍질에 부호나 문자를 새겨서 점괘를 보기도 하였다.

뼈점[骨占]에 사용한 점뼈[卜骨]는 주로 초식동물의 주걱뼈[肩胛骨]나 발굽과 같은 수골(獸骨)이나 거북의 귀갑(龜甲)을 사용하였는데, 한반도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것은 사슴의 주걱뼈[肩胛骨]이다. 점뼈[卜骨]는 가장자리를 다듬고 뼈의 한쪽 면에 얆게 굼을 파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태우거나 불에 달군 도구로 지져서 갈라지고 깨진 모양을 해석하여 길흉화복을 점쳤다.

중국에서는 (商)과 주(周) 시대에 뼈점[骨占]이 성행(盛行)하여 수골(獸骨)이나 귀갑(龜甲)을 사용하여 행하는 점(占)을 ‘복(卜)’이라고 하였다. 한반도에서도 초기 철기시대에 이르러서는 남부 지역에서도 뼈점[骨占]에 사용한 점뼈[卜骨]가 폭넓게 출토되며, 부여(夫餘)와 고구려(高句麗)에서는 뼈점[骨占]의 영향을 받아 나라에 중요한 일이 생기면 소의 발굽으로 점을 치는 우제점법(牛蹄占法)이 실시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