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

다른 표기 언어 Abstract Expressionism , 抽象表現主義

요약 추상표현주의는 다양한 회화적 양식들로 구성되어 있다.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개인의 감정 표현 등을 강조하고 자유로운 기법과 제작 방법을 이용한다.
추상표현주의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액션 페인팅이다. 캔버스에 직접 물감을 뿌리거나 쏟아 붓는 등 부분적으로 우연에 의한 기법과 휩쓸거나 마구 휘두르는 붓놀림으로 유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물감을 다룬다. 두 번째는 서정적이고 섬세한 이미지와 흐르는 듯한 형태로 이루어진 그림에서부터 힘찬 서예에 가까운 작품에 이르기까지 여러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는 얇고 평면적으로 채색한 넓은 색면들을 통해 고요하고 미묘하며 거의 명상적인 효과를 얻고자 했다. 추상표현주의는 1950년대에 미국과 유럽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에 서양 회화를 주도하는 경향이 되었다.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대표적인 화가로는 잭슨 폴록, 윌렘 데 쿠닝, 프란츠 클라인, 마크 로스코 등이 있다. 그외에도 클리퍼드 스틸, 필립 거스턴, 헬렌 프랭컨탤러, 바넷 뉴먼, 아돌프 고틀리브, 로버트 머더웰, 리 크라이스너, 브래들리 워커 탐린, 윌리엄 배지오티스, 애드 라인하르트, 리처드 푸셋 다트, 일레인 데 쿠닝, 잭 트보르코프 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뉴욕 시에 살면서 그림을 그리고, 전시회에 참여했다.

추상표현주의는 공인된 명칭이긴 하지만, 이 화가들의 작품을 지칭하기에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사실 이 운동은 기법과 표현의 특징 등 모든 면에서 매우 다양한 회화적 양식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추상표현주의의 이 그림들은 몇 가지 커다란 특징들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추상표현주의 작품은 가시세계에서 따온 형태들을 묘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추상적이다.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개인의 감정 표현 등을 강조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매우 자유로운 기법과 제작 방법을 이용한다. 특히 물감이 지닌 각양각색의 물리적 특성을 집중적으로 탐구함으로써 표현적인 특징들(감각성·역동성·대담함·신비감·서정성)을 불러일으킨다.

이 작품들은 예술에서 창조적인 무의식 세계의 힘을 표현하려는 비슷한 의도에서, 초현실주의 화가들의 자동기술법과 유사하게 물감을 심리적 즉흥의 형태로 다듬어지지 않고 직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이 작품들은 분리된 각각의 요소들로 짜여지는 전통적인 구성을 버리고 그것들 대신 하나의 통합된 일관성 있는 장(場)이나 망조직, 또는 짜여지지 않은 공간에 존재하는 이미지로 채워져 있다.

끝으로 이 그림들은 커다란 캔버스로 나타나 마음을 사로잡는 대단한 시각적 효과를 주게 된다.

초기 추상표현주의자들 가운데 두드러지게 선구적인 역할을 한 두 인물로는 아실 고르키와 한스 호프만을 들 수 있다. 고르키는 자유롭고 섬세한 선과 흐르는 듯이 물감을 사용하여 생물체를 암시하는 형태를 그렸으며, 호프만은 역동적이고 뚜렷한 질감을 나타내는 추상적인 붓놀림을 이용했으나 전통적인 구성 작품에 머물렀다.

아실 고르키(Arshile Gorky)
아실 고르키(Arshile Gorky)

1930년대말과 1940년대초에 유럽을 점령한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간 일군의 초현실주의자들과 유럽 전위미술가들도 추상표현주의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뉴욕 태생의 화가들에게 커다란 자극이 되었으며 전위적인 유럽 회화를 좀더 가깝게 대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일반적으로 추상표현주의 운동은 1940년대말과 1950년대초에 잭슨 폴록과 윌렘 데 쿠닝의 작품에서 시작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추상표현주의는 그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접근방법에 따라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는 액션 페인팅이다. 캔버스에 직접 물감을 뿌리거나 쏟아 붓는 등 부분적으로 우연에 의한 기법과 휩쓸거나 마구 휘두르는 붓놀림으로 유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물감을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액션 페인팅을 처음 시도한 폴록은 밑칠도 하지 않은 캔버스에 아크릴 물감을 떨어뜨려서 실타래와 같이 복잡하게 얽히게 하여 긴장되고 암시적인 선적 유형을 구축했다.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

데 쿠닝은 매우 활기차고 표현적인 필치를 사용하여 풍부한 색채와 질감을 지닌 이미지들을 만들었다. 클라인은 흰 캔버스 위에 검은 필치를 힘차게 휘두름으로써 웅장한 형상을 창조했다. 추상표현주의의 2번째 단계는 거스턴프랭컨탤러의 작품과 같이 좀더 서정적이고 섬세한 이미지와 흐르는 듯한 형태로 이루어진 그림에서부터 머더웰이나 고틀리브의 명확하게 구축된 힘찬 서예에 가까운 작품에 이르기까지 여러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난다.

데 쿠닝 (Willem de Kooning)
데 쿠닝 (Willem de Kooning)

3번째이자 감정 표현을 가장 절제한 작품으로는 로스코·뉴먼·라인하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얇고 평면적으로 채색한 넓은 색면들을 통해 고요하고 미묘하며 거의 명상적인 효과를 얻고자 했다.

특히 뛰어난 색면 화가는 로스코로 대부분의 그의 작품들은 커다란 사각형들의 조화로 이루어지는데 그 가장자리가 부드럽게 채색된 부분과 분명히 채색된 부분이 어우러져 희미하게 빛나거나 공명을 느끼게 하는 듯하다. 추상표현주의는 1950년대에 미국과 유럽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추상표현주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현대회화의 중심지를 파리에서 뉴욕으로 옮겨놓았다. 1950년대에 젊은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은 점차 색면화가들의 뒤를 따랐으며 1960년에 이르러 이들은 대개 액션 페인팅의 강렬한 표현을 그만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