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랄 산맥

우랄 산맥

다른 표기 언어 Ural Mountains
요약 테이블
위치 러시아 중부,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
대륙 유라시아
국가 러시아, 카자흐스탄

요약 러시아 연방을 가로지르는 험준한 산맥.
(영). Ural Mountains/The Urals. Ural이라고도 함.

목차

접기
  1. 자연적 특성
    1. 형상
    2. 지질
    3. 하천·호수
    4. 기후
    5. 식물
    6. 동물
  2. 주민
  3. 경제
  4. 연구와 탐사
우랄 산맥(Ural Mountains), Yugyd Va National Park
우랄 산맥(Ural Mountains), Yugyd Va National Park

전통적으로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로 여겨져온 곳으로, 그 길이가 북극해 연안으로부터 남쪽 우랄 강까지 2,100km 이상에 달한다.

우랄 산맥의 북쪽 끝에서 뻗어나간 파이호이 산맥은 고도가 낮고 심하게 개석되어 있으며 역시 우랄 산맥의 북쪽 연장부인 노바야젬랴 섬은 바렌츠 해와 카라 해를 가르고 있다. 한편 우랄 산맥의 남쪽으로 넓게 이어지는 무고자르 구릉지대는 카스피 해 유역과 아랄 해 유역의 분수계를 이룬다.

우랄 산맥은 너비가 32~144km로 비교적 좁은 편이지만 남북방향으로 광범위한 위도에 걸쳐 있어 북극의 황무지에서 반(半)사막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대륙의 다양한 지대를 통과한다.

이 산맥은 광물이 풍부한 시베리아 지역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으며 공업이 고도로 발달한 우랄 경제지역의 일부를 이룬다.

지도
우랄 산맥

자연적 특성

우랄 산맥(Ural Mountains)
우랄 산맥(Ural Mountains)
형상

우랄 산맥은 극지(極地) 우랄, 연극지(沿極地) 우랄, 북부 우랄, 중부 우랄, 남부 우랄 등 5개 부분으로 구분된다.

가장 북쪽 부분인 극지 우랄은 북동쪽의 콘스탄티노프카멘 산에서 남동쪽의 훌가 강까지 약 384km의 지역에 해당한다. 이 부분의 최고봉은 높이 1,449m의 파예르 산이며 나머지 지역의 높이는 대개 해발 1,000~1,100m이다. 다음 줄기인 연극지 우랄은 남쪽으로 시추고르 강까지 약 224km 뻗어 있다.

이 부분에 나로드나야 산(1,895m)과 카르핀스크 산(1,848m)을 비롯하여 우랄의 최고봉들이 자리잡고 있다. 전형적인 고산지대의 특징을 보이는 이 두 부분은 빙하와 영구동토로 덮여 있다. 남쪽 우사 강까지 544km의 지역에 해당하는 북부 우랄의 대부분 봉우리들은 1,000m 정도까지 솟아 있으며 최고봉은 텔포스이스 산(1,596m)이다.

북부 우랄의 산 중에서 상당수는 정상부분이 평평한데, 이는 이 부분이 고대 준평원(약간 기복이 있는 드넓은 침식면)의 잔재가 최근의 지각운동으로 융기되어 형성된 곳이기 때문이다. 북부에서는 강력한 풍화작용으로 인해 산사면과 정상부에 광대한 '암석바다'가 나타난다. 우파 강까지 320km 뻗어 있는 중부 우랄은 비교적 낮은 부분으로 최고봉인 스레드니바세크 산은 978m에 이르지만 대부분 480m 이하의 높이를 보인다. 산봉우리들은 완만하며 드문드문 노두들이 남아 있기도 하다.

마지막 부분인 남부 우랄은 우랄 강이 서쪽으로 흐름을 바꾸며 굽이도는 곳까지 약 544km 뻗어 있으며 1,170m까지 솟는 몇 개의 평행한 줄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최고봉이 높이 1,614m의 야마타우 산인 이 부분은 무고자르 구릉지대의 넓은 고지대(높이 600m 이하)로 이어진다.

암석조성에 따라 다양한 지형이 나타난다.

풍화에 강한 규암·편암·반려암으로 구성된 지역에서는 높은 산줄기와 꼭대기가 평평하고 고도가 낮은 산마루가 나타난다. 뷰트가 많으며 남북방향의 석회암 지구(地溝)들이 있는데, 이러한 지구들에는 거의 예외없이 하곡이 발달했다. 우랄 산맥 서사면에는 동굴·분지·복류천 등이 나타나는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보인다. 반면 동사면에서는 카르스트 지형의 형성이 미약하고 평평해진 지표 위로 암석들이 솟아 있다. 중부 우랄과 남부 우랄의 동쪽으로는 준평원화된 드넓은 산록(foothills)이 펼쳐져 있다.

지질

우랄 산맥은 헤르시니아 조산(造山)운동(2억 5,000만 년경 전)의 구조적 융기에 의해 형성되었다.

헤르시니아 조산운동(Hercynian orogeny)
헤르시니아 조산운동(Hercynian orogeny)

약 2억 8,000만 년 전에 높은 산악지대가 솟았으나 침식작용으로 준평원이 되었다. 그후 알프스 습곡작용으로 새로운 산맥이 형성되었는데 가장 두드러지게 솟아 오른 부분이 연극지 우랄이었다. 이 유역 내에는 우랄 산지에서 가장 큰 우랄타우 배사구조가 있고 그 서쪽인 남부 우랄에는 바슈키르 배사구조가 있다. 이들은 3억 9,500만~5억 7,000만 년 된 고기열변성암으로서 편마암·규암·편암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랄 산맥의 서쪽 사면은 약 3억 5,000만 년 된 고생대 중기 퇴적암(사암과 석회암)으로 이루어진다.

여러 곳에서 계단식 대지를 이루며 하강하여 시스우랄 저지(우랄 산맥의 서쪽)로 이어지는데, 후기 고생대(약 3억 년 전) 중 상당량의 침식물이 이 저지로 운반되었다. 서사면에는 카르스트(심하게 침식된 석회암 지역)와 석고가 널리 분포하여 곳곳에 큰 동굴들과 지하하천이 있다. 동사면에는 중기 고생대에 생긴 화산성지층과 퇴적지층이 번갈아 나타난다. 이 암석들은 우랄 산맥에서 가장 큰 타길마그니토고르스크 향사구조를 이룬다.

중부 우랄과 남부 우랄의 동사면은 화강암 노두가 많고 뷰트들도 있는 준평원화된 넓은 산기슭으로 이어진다. 북쪽의 준평원에는 서시베리아 평원의 퇴적물이 쌓여 있다.

하천·호수

우랄 산맥에서 흘러나오는 대부분의 강들은 북극해나 카스피 해로 유입되며 극지 우랄과 연극지 우랄의 서사면과 북부 우랄의 일부를 흐르는 페초라 강은 바렌츠 해로 들어간다.

페초라 강의 가장 큰 지류는 일리치·시추고르·우사 강이다. 동사면을 흐르는 대부분의 강들은 오브 하계에 속하며 카라 해로 유입된다. 이중 토볼·이세트·투라·타브다·세베르나야소스바·랴핀 강이 가장 크다. 카마 강(볼가 강의 지류)과 우랄 강은 카스피 해 유역에 속한다.

페초라 강(Pechora River)
페초라 강(Pechora River)

서사면을 흐르는 카마 강은 넓은 지역을 집수하며, 지류로는 비셰라·추소바야·벨라야 강이 있다. 우랄 강과 그 지류 사크마라는 남부 우랄을 따라 흐른다.

우랄 산맥 수계의 위치와 특성은 지형 및 기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대부분의 하천들은 상류구간에서 세로방향으로 뻗은 넓은 계곡을 따라 완만하게 흐른다. 그후 흐름은 동서로 바뀌고 좁다란 골짜기를 통해 산맥을 가로질러 평원으로 내려간다. 이러한 특징은 북부와 남부 우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동사면에서 발원하는 추소바야 강과 우파 강은 중부 우랄과 남부 우랄을 흐른 후 볼가 강 유역으로 들어간다. 서사면의 하천이 동사면의 하천보다 유량이 많은 편이며 유수량이 가장 적은 곳은 강수량은 적고 증발량은 매우 많은 남부 우랄의 동사면이다. 겨울철이면 강들이 남쪽에서는 5개월, 북쪽에서는 7개월 동안 결빙된다. 남부 우랄과 중부 우랄을 비롯하여 우랄 산맥에는 호수가 매우 많다. 그중 우빌디·잇쿨·투르고야크·타바투이 호(湖) 등이 가장 크다. 서사면에는 작은 카르스트 호수가 많으며 극지 우랄의 빙하곡에도 호수가 나타나는데, 그중 볼쇼예시추치예 호가 가장 깊다(134m). 몰타예보 호를 비롯한 여러 호수에는 피부관리에 효험이 있는 진흙이 있어 휴양지와 요양소가 많이 세워졌다.

기후

기온의 차가 뚜렷한 대륙성기후를 보인다.

파이호이 산맥과 극지 우랄은 북극해와 북태평양의 영향을 받아 비교적 온화한 편인데, 특히 겨울에 그러하다. 무고자르 구릉지대와 남부 우랄에는 여름철이면 중앙 아시아로부터 건조한 열풍이 불어온다. 바람은 대부분 서풍이며 대서양으로부터 강수를 동반한다. 우랄 산맥은 고도가 낮지만 강수분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서사면이 동사면보다 습윤하다. 연극지 우랄과 북부 우랄의 서사면의 강수량이 특히 많아 1,000㎜에 이른다. 강수량은 북쪽과 남쪽으로 갈수록 450㎜ 정도로 감소하며 동사면이 서사면보다 강우량(300㎜)과 강설량이 적다.

서사면의 연평균 적설량은 875㎜이고 동사면은 450㎜이다.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이 우세해 최대강수량은 여름에 기록된다. 동사면이 특히 추운 가운데 우랄 전역에 걸쳐 겨울이 여름보다 오래 지속된다. 1월 평균기온은 북쪽에서 -21℃, 남쪽에서는 -15℃이며, 7월 평균기온은 북쪽에서 10℃, 남쪽에서 22℃로 1월보다 남북 차가 더 크다.

식물

우랄 산맥은 여러 식생대에 걸쳐 있다.

북쪽으로부터 툰드라, 광활한 혼합림, 스텝, 그리고 무고자르 구릉지대 주변의 반사막이 차례로 나타난다. 체르노젬(흑토)과 암밤색토(스텝의 특징적인 토양) 지대에는 나래새와 포아풀이 많으며 그밖에 토끼풀류·김의털류(목초의 일종)·티모시(건초용 풀) 등이 자란다. 스텝을 지나 우랄 강 남쪽에 이르면 염기성이 매우 강한 경밤색 토양에서 자라는 쑥과 반사막의 식물들이 분포한다. 우랄 산맥의 삼림경관은 다양하다. 보다 습윤한 편인 남부 우랄 서사면의 산기슭은 회색 산림토에서 자라는 혼합림으로 덮여 있다.

참나무·보리수·느릅나무 등의 활엽수와 시베리아 전나무 및 시베리아 가문비나무가 함께 자란다. 활엽수는 높이 630m까지 분포하며 그위로는 침엽수가 나타난다. 동사면에는 보리수 이외의 활엽수는 없으며 잎갈나무류가 섞인 광활한 송림들이 널리 분포한다. 북쪽으로 가서 중부 우랄에 이르면 포드졸 토양이 나타나고 가문비나무·전나무·소나무·잎갈나무로 이루어진 타이가 삼림이 보인다. 보다 북쪽에서는 침엽수가 많으며 북부 우랄에는 시베리아 삼나무가 널리 분포한다. 삼림은 840m까지 나타나고 그위에는 잎갈나무와 자작나무류가 약간 분포하다가 산지 툰드라가 전개된다.

연극지 우랄과 극지 우랄에는 390m까지만 삼림이 분포하며 그위로는 산지 툰드라가 나타난다. 보다 습윤한 서사면에는 산지 툰드라가 일반적인 반면 동사면의 툰드라에서는 지의류가 자란다. 한편 동·서 양 사면 모두에 수많은 물이끼 소택지가 있다. 파이호이 산맥에는 관목숲과 선태 툰드라만이 분포한다.

클라우드 베리(Cloudberry)
클라우드 베리(Cloudberry)
동물

우랄 산맥은 고도가 낮고 통행이 용이하며, 동물상이 이웃한 동유럽과 서시베리아 지역의 동물상과 거의 다르지 않기 때문에 독특한 산지동물은 없다.

툰드라 지역에서 가장 가치있는 동물은 북극여우이며 그밖에 오브레밍·흰올빼미·유럽자고새·순록 등이 서식한다. 또한 여름에는 오리류·기러기류·고니류 등이 찾아온다. 그러나 우랄 산맥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양한 동물상인 갈색곰·스라소니·구즈니·말코손바닥사슴이 산악지대에서 발견된다. 검은담비(북부 우랄)·어민족제비·여우·담비(남부 우랄)·시베리아족제비·다람쥐 등은 모피로 유명하다.

긴털 족제비(Polecat)
긴털 족제비(Polecat)

타이가 삼림지대에는 멧닭·큰들꿩·뻐꾸기·들꿩과 같은 새들이 있으며, 남부 우랄의 서사면에 발달한 혼합활엽수림에는 밤울음새·꾀꼬리와 같은 유럽권 러시아의 대표적인 새들과 노루·오소리·폴캣족제비가 서식한다. 스텝과 반사막 지대에서 가장 일반적인 동물은 수스리크(땅다람쥐의 일종) 및 뛰는쥐와 같은 설치류와 기타 농업 해충류이다. 파충류로는 애더류와 유럽유혈목이 분포한다.

북부 우랄 산맥의 하천과 호수들에는 어류가 풍부한데, 그중 가장 가치있는 것은 넬마(흰연어류의 일종)·연어류·사루기·개꼴고기 등이다. 20세기에 경제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인구가 늘어감에 따라 우랄 산맥의 자연환경이 변했으며 야생동물의 수가 줄어들었다. 소련 당국은 산맥 보호수단으로 북부 우랄에 페초로일리치, 중부 우랄에 바세기와 비심, 남부 우랄에 일멘과 바슈키르 등의 국립자연보호구역을 설정했다.

주민

우랄 산맥에는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거주해왔다. 파이호이 산맥에 사는 네네츠족은 사모예드족의 일파로 그들의 언어는 북시베리아에 널리 퍼져 있는 사모예드어군에 속한다.

네네츠족(Nenets)
네네츠족(Nenets)

남쪽에 사는 코미·만시(보굴)·한트(오스탸크) 족은 핀우고르어족의 우고르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원주민 가운데 수적으로 가장 많은 바슈키르족은 남부 우랄에 오랫동안 거주했으며 투르크어군에 속하는 말을 쓴다.

무고자르 구릉지대에는 카자흐인들도 있다. 이들 종족들은 이전에는 유목생활을 했으나 지금은 정착해서 생활한다. 네네츠·코미·만시·한트 족은 북부 우랄을 비롯한 산맥의 고지대에 거주하며 순록방목·사냥·어업 등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유지하고 있다. 바슈키르족은 말 사육에 탁월한 재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원주민들은 전체 인구의 1/5에 불과하고 대다수는 러시아인이다. 러시아인들은 주로 중부 우랄과 남부 우랄에 살고 있고 대부분은 스베르들로프스크·첼랴빈시크·페름·우파 등의 도시에 거주하며 공업에 종사한다. 농민들은 밀과 감자를 비롯하여 곡물들을 재배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춘 남부 우랄의 스텝 지대에 많이 거주한다.

경제

우랄 산맥 광산
우랄 산맥 광산

우랄 산맥에는 광물자원이 매우 풍부하며 지질구조에 따라 동·서 사면에 다양하게 분포한다. 동사면에는 자철광을 비롯한 철광석이 많이 산출되며 카치카나르 등지에는 마그마 광상(암장에서 형성됨)이, 그리고 비소코고르스크와 블라고다트 산 등지에는 접촉광상(2개의 상이한 암질이 만나는 면)이 있다.

마그니토고르스크의 자철광을 비롯하여 몇몇 광상은 거의 고갈되었으며 일부 철광상에서는 바나듐과 타이타늄 등의 불순물이 섞인 광석이 채굴된다. 최대 구리광상은 가이와 시바이에 있고 우팔레이에는 니켈 광상이 있다. 보크사이트·크로뮴·금·백금 등의 대규모 광상도 있다. 동사면의 비금속 광물자원으로는 석면·활석·내화점토 등이 있으며 자수정·황옥·에메랄드 등과 같은 보석 및 준보석들도 옛날부터 유명했다.

녹주석
녹주석
백금
백금

서사면에는 카마 강 상류의 칼륨 광상과 이심바이와 크라스노캄스크 지역의 석유 및 천연 가스 광상이 있다. 역청탄과 갈탄은 동·서 양 사면에서 채굴되며 최대 광상은 북부 페초라 역청탄전이다.우랄 산맥의 방대한 삼림 역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삼림지대는 목재를 제공하고 강의 흐름을 조절하며 많은 모피동물들의 서식처를 이룬다. 농업은 주로 남부 우랄의 동쪽 스텝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지역은 대부분 경작지로 일구어져 밀·메밀·귀리·감자·채소 등을 재배한다.

우랄 산맥에서 가장 발달한 공업분야는 풍부한 광물자원을 기반으로 한 광업·야금업·기계제조업·화학공업이다. 마그니토고르스크·첼랴빈스크·니주니타길의 야금공장들, 페름·우파·오렌부르크의 화학공장들, 스베르들로프스크의 대규모 기계제조업체는 국가적으로 중요하다.

연구와 탐사

10세기 아랍 문헌에 우랄 산맥에 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타난다. 일찍이 11세기말 러시아인들이 우랄 산맥의 북단을 발견했으나 17세기초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전반적인 탐사가 완결되었고 산맥의 풍부한 광물이 세상에 알려졌다. 18세기초 표트르 대제의 명으로 러시아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바실리 N. 타티슈체프가 최초의 지리적 탐사를 수행했다.

타티슈체프(Vasily Nikitich Tatishchev)
타티슈체프(Vasily Nikitich Tatishchev)

같은 시기에 철과 구리광석이 조직적으로 채굴되기 시작했고 우랄 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산업지대로 급속히 발전해갔다. 우랄 산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770~71년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19세기에 우랄 산맥을 연구한 학자로는 지질학자 A.D. 카르핀스키, 식물학자 P.N. 크릴로프, 동물학자 L.P. 반예프와 같은 러시아 과학자들과 독일의 자연학자 알렉산더 폰 훔볼트 그리고 1841년에 최초의 우랄 산맥 지질도를 완성한 영국의 지질학자 로더릭 머치슨 경 등이 있다. 20세기에는 지질구조 및 그와 관련된 광물자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머치슨(Sir Roderick Impey Murchison)
머치슨(Sir Roderick Impey Murch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