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

정맥

[ vein , 靜脈 ]

요약 동맥계를 거쳐 몸을 순환한 혈액이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통로
계통 순환기계

정의

동맥계를 거쳐 순환한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갈 때 지나는 혈관을 정맥이라고 한다. 정맥은 흔히 얕은정맥(표재성 정맥, superficial vein)과 깊은정맥(심부정맥, deep vein)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 둘의 정맥이 연결되거나 합쳐지는 통로가 되는 정맥을 교통정맥(communicating vein)이라고 한다.

얕은정맥은 피부와 매우 가까워 눈으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지만, 깊은정맥은 피부 아래 근육들의 사이나 근육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눈으로 봐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얕은정맥은 비교적 가늘고 연결되는 혈관이 많아 복잡한 통로를 형성하고, 깊은정맥은 얕은정맥의 혈관 가지들이 합쳐져 이루어지므로 얕은정맥에 비해 굵고 여러 혈관 가지로 갈라지지 않는다. 깊은정맥은 심장으로 가까워질수록 그 수가 적어지고 굵어지며, 결국 대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혈액순환의 일부로서 심장으로 들어가는 통로를 일컬어 정맥계라 한다.

위치

정맥계는 동맥모세혈관계를 통해 순환한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통로로서, 체내 깊숙한 곳에서는 동맥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피부에 가까울수록 동맥계와 일치하지 않는 분포를 보인다. 폐정맥계를 제외한 정맥계에는 몸의 각 부위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난 혈액이 흐른다.

심장에서 폐로 전달된 피가 폐순환을 한 뒤 다시 심장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폐정맥계에는 폐에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고 산소가 풍부하게 공급된 상태이므로 다른 정맥혈관에서와는 달리 일반적인 동맥의 피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심장에서 나가는 방향의 혈액이 흐르는 혈관은 동맥, 심장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혈액이 흐르는 혈관을 정맥으로 부르기 때문에, 내용물이 동맥혈이지만 혈관은 정맥으로 불린다.

형태 및 구조

정맥계는 동맥계에 비해 압력이 낮고, 혈류속도가 느리므로 피가 흐르는 데 관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심장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정맥(주로 팔과 다리의 정맥)은 특징적으로 혈액의 흐름이 거꾸로 바뀌지 않게 하는 판막이 존재한다. 보통 반달모양의 판이 2장씩 마주보고 있는데, 작은 정맥에는 1장만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정맥판은 흔히 팔과 다리의 정맥에 분포하고, 머리나 목, 간, 신장, 폐, 자궁 등의 정맥이나 간문맥에는 없다. 정맥의 벽은 같은 굵기를 가진 동맥에 비해 얇고 결합조직이 많으며, 근조직은 적다. 지름이 1mm 이상 되는 정맥의 벽은 동맥과 마찬가지로 안쪽에서부터 혈관속막(내막), 혈관중간막(중막), 혈관바깥막(외막)의 3층으로 구성된다.

폐정맥계를 제외한 정맥계에는 몸의 각 부위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 혈액이 흐르는데, 실제 혈액의 색깔은 동맥혈과 비교하여 더 어두운 붉은 색을 띤다. 이런 정맥혈의 검붉은 색이 피부에 비쳐 보이면 푸르게 보이는데, 이는 어두운 붉은 색이 피부의 색과 겹쳐지기 때문이다.

정맥혈관의 구조

정맥혈관의 구조

하위 기관

1. 정맥의 깊이에 따른 구분
- 얕은정맥(표재성 정맥, superficial vein)
- 깊은정맥(심부정맥, deep vein)
- 교통정맥(communicating vein, perforating vein): 얕은정맥과 깊은정맥이 연결되거나 합쳐지는 통로

2. 정맥의 해부학적 위치 및 역할에 따른 주요 정맥
대정맥(위대정맥과 아래대정맥), 목동맥, 빗장밑정맥, 팔머리정맥, 간문맥, 엉덩정맥, 넙다리정맥, 오금정맥

정맥의 깊이에 따른 분류

정맥의 깊이에 따른 분류

인체의 주요 정맥의 분포를 보여주는 모식도

인체의 주요 정맥의 분포를 보여주는 모식도

기능

동맥계를 거쳐 순환한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정맥혈은 산소분압이 낮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은 높으며, 산화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방출하여 헤모글로빈이 되므로 어두운 붉은색을 띠게 된다. 얕은정맥은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수액이나 약제를 투여할 때 흔히 이용된다. 팔꿈치의 안쪽에서 볼 수 있는 주정중정맥(자쪽피부정맥, antecubital vein)과 전완정중정맥(median antebrachial vein)은 굵고 눈에 잘 띄므로 정맥주사를 놓을 때 자주 이용된다.

관련 질병

정맥류 :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중년 이후의 여성과 서서 장시간 같은 자세로 일하는 사람의 하복부나 하지의 피하정맥에 정맥혈이 괴어 정맥이 부풀어 마치 지렁이가 기어가는 것처럼 구불구불하게 보이는 것을 정맥류라 한다. 이는 넓은 의미의 정맥부전으로 정맥의 기능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수술적인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정맥이 주위의 조직에 붙게 되어 혈관 안쪽이 넓어진 부분을 정맥동이라고 하며 이 부분에는 정맥혈이 고이게 되어 혈류가 느려진다. 정맥이 가늘게 분지하여 그물망과 같이 되어 있는 것을 정맥망이라 하고, 이것이 입체적으로 구성된 것을 정맥총이라 한다. 또한 정맥총이 매우 치밀한 경우를 해면체라고 한다.

관련 검사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CT), 혈관 조영술 등

관련이미지

정맥

정맥 출처: 생명과학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