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특이적 면역

비특이적 면역

[ non-specific immunity , 非特異的 免疫 ]

요약 생물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방어 작용으로 병원체의 종류나 감염 유무에 관계없이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면역.

비특이적 면역이란 생물이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병원체에 대한 방어 작용으로, 병원체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작용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 비특이적 면역은 식물, 균류, 곤충 등의 생물에서는 외부 병원체에 대항하는 주된 방어 전략이며, 척추동물에서는 특이적 면역과 더불어 두 가지의 핵심적인 방어 전략 중 하나이다. 척추동물의 비특이적 면역에는 물리적 방어, 염증 반응, 식균 작용, 응고 반응 등이 있다.

물리적 장벽

물리적 장벽은 물리, 화학적으로 병원체를 막는 방어벽의 역할을 하는 피부점막을 뜻한다. 피부의 표피나 각질 층은 미생물의 침입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장벽의 역할을 하며, 소화관이나 호흡기의 내벽과 여기에 분비되는 점액 또한 병원체가 체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물리적 장벽에 해당한다. 점액은 상피세포의 손상을 방지하고 병원체의 침입을 차단하며, 상피세포의 섬모 운동을 통해서 병원체를 배출시킨다. 눈물, 침, 땀 등의 분비액에 포함된 라이소자임은 세균의 세포벽을 분해하는 효소로 물리적 장벽의 역할을 한다.

비특이적 면역 본문 이미지 1

염증 반응

염증 반응(inflammation)은 피부 손상이나 감염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고, 병원체의 전파를 차단하는 비특이적 면역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상처 부위나 감염 부위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macrophage)나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 비만세포(mast cell)와 같이 감염 초기에 작용하는 일련의 세포들에 의해서 시작된다. 이 세포들이 분비하는 히스타민(histamine), 브라디키닌(bradykinin)과 같은 화학 물질이 주변 조직과 혈관 내벽의 세포에 작용하면,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혈관 내의 백혈구혈장이 상처 부위로 빠르게 모일 수 있게 해준다. 상처 부위로 몰린 백혈구는 식세포작용을 통해 병원체를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염증 반응이 발생한 부위는 혈장이 몰려 피부가 벌겋게 부어오르고 열이 발생하며, 통증과 일시적인 기능 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비특이적 면역 본문 이미지 2

식균 작용

식균 작용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와 같은 백혈구가 병원체를 직접 세포 안으로 끌어들여서 세포 내의 소화 효소를 이용해서 분해시키는 방어 작용이다.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는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을 통해서 병원체를 감싸는 식포(phagosome)을 형성한다. 식포는 소화 효소가 포함된 리소좀(lysosome, 라이소좀)과 융합되어 병원체의 분해가 일어난다.

응고 반응

응고 반응은 상처 부위의 혈액이 굳어서 겔(gel) 상태로 바뀌면서 혈병이 형성되는 반응으로, 혈액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상처 부위를 통한 병원체의 유입을 차단시키기 때문에 비특이적 면역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