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

백혈구

[ leukocyte / leucocyte , 白血球 ]

요약 혈액 속의 혈구세포 중 하나로서 인간의 혈액에서는 수백만 개의 백혈구가 존재하며, 혈액과 조직에서 이물질을 잡아먹거나 항체를 형성함으로써 감염에 저항하여 신체를 보호한다.

백혈구의 신체방어기작

백혈구는 보통 혈액 1㎣당 6000-8000개 존재하며 생체의 방어기작을 수행하고 있다. 백혈구의 주요기능은 아메바운동을 하면서 혈관 밖으로 나와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세포 내로 취입한 다음 소화 분해하여 무독화시키는 것이다. 조직이 손상되면 파괴된 세포가 류코탁신(leukotaxine)이라는 산물을 산출하는데, 이 물질은 근처에 있는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서 백혈구(특히, 운동성이 큰 중성백혈구)가 모세혈관막을 통과하여 식균작용을 하게 된다.

호중구의 과립은 리소좀이며 섭취한 세균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호중구 한 개는 세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50개의 세균을 처리한 후 사멸시킨다. 이 사구가 모인 것이 고름이다.

백혈구 본문 이미지 1 

백혈구의 종류

백혈구는 다음과 같이 5종류로 나뉜다. ① 중성백혈구(호중구), ② 염기성백혈구(호염기구), ③ 산성백혈구(호산구), ④ 단핵구와 대식세포, ⑤ 림프구 등이 그것이다. 중성백혈구·염기성백혈구·산성백혈구(실험할 때 염색되는 시약에 따라 분류함)들을 합해서 과립구라고 하는데, 세포질 안에 과립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형핵백혈구라고도 하는데, 이는 핵의 모양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모든 세포는 핵이 있으며 각각 독특한 진행방법과 속도로 이동한다.

백혈구 본문 이미지 2

림프구

림프구는 림프절에서 만들어지며 식균작용과 함께 항체형성에 관여한다. 과립 백혈구의 세포질에는 특수과립이 존재하는 반면, 림프구는 과립이 존재하지 않아 단핵구와 함께 무과립백혈구에 속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혈액의 구성과 기능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혈액을 뽑아 분리시켰을 때 위쪽에 노랗게 뜨는 액체가 혈장이고, 아래 쪽에 가라앉는 액체가 혈구입니다. 혈장은 대부분이 물이고 혈장 단백질이 일부 녹아있습니다.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 무기염류 등과 같은 영양소를 세포로 운반하며, 세포에서 생성된 노폐물을 콩팥과 폐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습니다. 적혈구는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원반 모양이며, 핵은 없습니다. 붉은색을 띠는 헤모글로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산소를 운반하는 작용을 합니다. 백혈구는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핵을 가지고 있습니다. 몸에 병균이 침입하면 증식해서 수를 늘린 뒤, 균을 직접 잡아먹거나 균에 대항하는 물질을 만들어 질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혈소판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핵이 없습니다. 몸에 상처가 났을 때 혈액을 응고시켜 딱지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상처를 보호하고 더 이상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줍니다. 이처럼 우리 몸의 혈액은 온몸을 돌면서 물질을 운반하고, 몸을 방어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