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과립구증

무과립구증

[ agranulocytosis , 無顆粒球症 ]

요약 고열 ·전신쇠약, 구강 및 인두의 궤양이나 괴사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질환.

과립구 감소증(顆粒球減少症)이라고도 한다. 백혈구 중의 과립구가 갑자기 감소 또는 소실하는 병이다. 몸이 백혈구의 소임인 침입한 세균과 싸우는 기능을 잃어 중증(重症)의 패혈증(敗血症)을 일으킨다. 본증의 원인은 전혀 불명의 경우와 다른 질환(패혈증 ·디프테리아 ·폐괴저 등의 중중인 경우)의 증후로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최근에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여러 가지 약제에 의한 과민증성(過敏症性) 현상이다.

예를 들면, 아스피린 ·아미노피린 ·설파제(劑) ·살바르산 ·방사선의 과잉조사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원인약물의 제거와 면역이 될 때까지 감염예방으로 항생물질을 사용한다. 대체로 백혈구 감소가 심한 것은 예후불량(豫後不良)의 징조이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