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립 백혈구

과립 백혈구

[ granulocytes , 顆粒 白血球 ]

요약 원형질에 있는 작은 구상 또는 봉상과립의 백혈구로 과립구라고도 한다. 백혈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립구라고도 한다. 적당하게 염색을 하면 현미경을 통해 3종으로 구별할 수 있다. 즉, 염색액 중의 에오신에 붉게 물드는 성질을 호산성 또는 호에오신성이라 하고, 메틸블루에 물드는 성질을 호염기성이라 한다. 대체로 핵은 호염기성이고 원형질 내의 과립은 여러 가지로 물든다. 결국 건조 후의 염색성에 따라 과립 백혈구를 호산구 ·호중구 ·호염기구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수는 호중구가 백혈구 전체의 40~70%를 차지하고, 호산구가 2~3%, 호염기구가 0.01~1% 정도로 3종을 합치면 과립 백혈구가 백혈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과립은 어느 것이나 거칠고 크며, 핵은 분엽형(分葉形)인데, 호중구에서는 그 분엽의 수가 다른 2종보다 많은 것이 보통이다. 호중구는 백혈구 중 식균작용이 강력하여 식세포(食細胞)라고도 하며, 호산구는 기생충의 감염이나 알레르기성 질환일 경우에 증가하고, 스트레스나 부신호르몬 분비시에 감소한다. 호염기구의 과립은 헤파린인데, 혈관 내에서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자극의 종류에 따라 대응하는 백혈구의 종류도 다르며, 화농성 질환에서는 호중구, 기생충병에서는 호산구, 원충병(原蟲病)에서는 단구(單球), 매독에는 림프구가 반응한다.

역참조항목

과립구소실증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