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목판화

오목판화

[ Intaglio printing ]

요약 매끄러운 금속판에 새긴 세밀한 홈에 잉크를 채우고, 강한 압력을 이용해 종이에 찍어내는 판화(版畵)의 한 종류이다. 판재에 오목한 홈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에칭·드라이포인트·인그레이빙·메조틴트·애쿼틴트 등으로 나뉜다.
윌리엄 호가스 <난봉꾼의 행각>

윌리엄 호가스

정의 및 특징

평판화, 공판화, 볼록판화와 함께 네 가지 기본 판화 기법 중 하나이다. 오목판화의 영문 표현은 'Intaglio'로 이는 '새기다, 조각하다'의 의미인 'intagliare'에서 유래하였다. 매끄러운 금속 판에 홈을 직접 새기거나 부식하는 금속의 성질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기법으로, 오목한 곳에 잉크를 남겨 찍는 방법이다.

판재(板材)는 주로 구리나 아연 등의 금속판을 사용하고, 때에 따라 동판이나 아크릴판이 사용되기도 한다. 금속 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판화 기법에 비해 다량 인쇄가 가능하고, 판이 덜 마모된다는 장점이 있다.

인쇄된 결과물은 원판의 이미지가 좌우가 바뀌어 표현되며, 바늘과 같은 묘침을 사용하여 새기기 때문에 면(面)보다는 정교하고 세밀한 선(線)의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 선의 겹침에 의한 표현과 부식액의 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농담과 질감 표현이 가능하다.

역사

금속 세공 분야 등에서 중세 시기부터 오목판화의 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나의 인쇄 기법 혹은 예술적 매체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은 종이가 보편화 되며 판화 기법이 함께 발전하던 15세기경이다. 초기에는 종교적 내용이나 세속적 주제를 표현하고, 이를 대중에게 전파하는 매체로서 기능하였으나, 점차 미술가들의 예술적 표현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종류 및 표현과정

오목판화의 종류로는 에칭, 드라이포인트, 인그레이빙, 메조틴트, 애쿼틴트 등이 있으며, 판을 부식시켜 표현하는 방식과 판 위에 직접 이미지를 새기는 방식으로 분류한다. 에칭과 애쿼틴트는 판에 밑그림을 그리고 판을 부식 시키는 과정을 거치며, 드라이포인트, 메조틴트, 인그레이빙은 부식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뷰린(burin)이나 니들과 같은 도구를 사용해 직접 금속판 위에 이미지를 새겨 표현한다.

판에 홈을 새기는 방식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지만, 모두 공통적으로 ‘잉크 칠하기→닦아내기→찍어내기’의 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인 오목판화의 표현과정은 다음과 같다. 새기기 혹은 부식의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표현한 판에 파인 홈 안에 잉크가 채워질 수 있도록 잉크를 칠하고, 홈 외의 볼록한 부분의 잉크는 닦아낸다. 이후, 종이를 판에 올려 찍어내는데, 이 과정에서 종이가 판에 새겨진 홈의 잉크를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압력을 필요로 한다. 강한 압을 주어 판화를 찍어내기 위해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인쇄한다. 기본적으로 단색으로 작업하지만 여러 개의 판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표현하거나 한 장의 판에 여러 잉크를 발라 찍어내는 '아 라 푸페(à la poupée)' 와 같은 인쇄 기법을 사용하여 다색 판화로 제작하기도 한다.

대표작품 및 작가

근세와 현대의 다양한 사조의 수많은 예술가들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기법을 혼용하여 오목판화 작품을 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윌리엄 블레이크윌리엄 호가스, 파블로 피카소가 있으며 현대 작가로는 데이비드 호크니, 척 클로스 등이 있다.

윌리엄 블레이크는 다수의 종교적 이미지를 인그레이빙으로 제작하였는데, 대표적 예로는 《욥기(記)》에 수록된 삽화가 있다. 호가스는 풍자적 삽화를 에칭 및 인그레이빙으로 제작하였으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난봉꾼의 행각 A Rake’s Progres》(1732~1735) 연작으로, 현대 미술 작가 데이비드 호크니가 이 작품을 재해석하기도 하였다. 피카소도 다수의 에칭 판화를 제작하였는데, 대표적으로 그의 《볼라드 스위트 Vollard Suite》(1930~1937) 모음집에서 살펴볼 수 있다. 데이비드 호크니는 그와 피카소의 모습을 그린 《아티스트와 모델 Artist and Model》(1974)을 에칭과 애쿼틴트 기법을 혼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척 클로스의 잘 알려진 《키스/메조틴트(Keith/Mezzotint)》(1972) 역시 메조틴트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오목판화는 오늘날 사진 제판 및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복제 기술로서는 쓰이지 않고 있으며, 예술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참조항목

오목판인쇄, 판화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이미지

판화의 종류

판화의 종류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