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

인쇄

[ printing , 印刷 ]

요약 문자·그림·사진 등을 종이나 기타 물체의 표면에 일정한 방법으로 옮겨 찍어서 여러 벌의 복제물을 만드는 일.

다시 말해서 인쇄물을 만들기 위한 복제 기술 및 행위를 말한다. 인쇄물 본래의 기능은 시각적 전달매체이므로 인쇄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하나이며, 최근에는 감각·정서의 반응을 목적으로 하는 장식의 수단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인쇄물을 생산하는 데는 인쇄술, 즉 인쇄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복제 기술이 사용된다. 인쇄술이란, 일정한 판면(版面)에 잉크를 묻혀서 그 잉크를 다른 재료(주로 종이가 사용되지만, 이 밖에 셀로판·폴리에틸렌·비닐·목재·유리·도자기·알루미늄·함석판 등)에 옮겨 문자나 그림 등을 다수 복제하는 기술이다. 문장은 활자나 사진식자에 의해 조판하고, 그림이나 사진은 망판·원색판·다색 오프셋판 등으로 제판하여 볼록판인쇄나 오프셋판 등으로 원고와 가급적 똑같게 복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인쇄는 등사판인쇄로부터 고속윤전인쇄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또, 오늘날에는 소비문명의 진전에 따라 종이뿐만 아니라 금속판은 물론, 셀로판과 같은 투명체에 복제하는 인쇄도 성행하고 있으며, 비닐이나 옷감의 프린트무늬, 식기나 가구의 표면 장식 등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인쇄물이 진출하였다. 인쇄방식으로는 종래의 볼록판[凸版]·평판(平版)·오목판(凹版] 등 세 가지 판식이 이용되는 외에 공판인쇄의 이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또 누르는 힘이 없어도 인쇄되는 정전인쇄(靜電印刷) 방법이 발명되어 활발히 실용되고 있다.

[인쇄문화의 발달사]

연도

사건

105년

중국의 채륜(蔡倫), 종이제조법 발명

7세기

한국·중국, 목판(木版) 인쇄 시작

751년

한국, 세계 최초의 목판 인쇄물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인쇄

770년

일본 《햐쿠만토다라니경[百方塔陀羅尼經]》목판 인쇄

868년

중국, 목판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인쇄

1234년

한국, 세계 최초로 동활자(銅活字)를 사용한 《고금상정예문(古今詳定禮文)》간행

1236년

한국,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주조 각판(~51)

1403년

한국, 동활자 계미자(癸未字)

1445년

독일 구텐베르크, 연활자(鍊活字)를 이용한 활판(活版) 인쇄술 발명

1456년

독일 구텐베르크, 세계 최초의 활판 인쇄물 《36행 성서(三十六行聖書)》간행

1735년

영국 카즐런, 최초의 활자 견본(見本) 반포

1798년

독일 A. 제네펠더, 석판(石版) 인쇄술 고안

1817년

독일 A. 제네펠더, 아연판(亞鉛版)을 이용한 평판(平版) 시쇄(試刷)

1826년

프랑스 J.N.니에프스, 사진 요판(凹版) 인쇄

1839년

영국 폰턴, 사진 제판 고안

1865년

독일, 콜로타이프 인쇄법 고안

1868년

영국 《타임스》사(社) 권지용(捲紙用)활판 윤전기 운전 시작

1886년

라이노타이프 실용화, 아메리칸 포인트 결정. 1P=0.3515mm

1893년

그라비어 인쇄법 고안

1904년

미국 I.W.루벨, 오프셋 윤전기 제작

1908년

미국 톰슨, 자동 활자주조기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