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균

헬리코박터균

[ Helicobacter pylori ]

헬리코박터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국문) Helicobacter pylori (영문)

목차

분류균

세균 도메인(Bacteria Domain) > 프로테오박테리아 문(Proteobacteria Phylum) > 엡실론프로테오박테리아 강(Epsilonproteobacteria Class) > 캠필로박테레일즈 목(Campylobacterales Order) > 헬리코박테레이씨 과(Helicobacteraceae Family) > 헬리코박터 속(Helicobacter Genus) > 헬리코박터균 종(H. pylori Species)

과거 의학계는 사람이나 동물의 위는 강산이 유지되고 있어 세균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의사들은 위궤양의 원인을 위산 과다와 스트레스로 생각했고 치료를 위해 제산제를 처방했다. 하지만 198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리학자인 로빈 워렌과 배리 마셜이 위조직에서 헬리코박터균을 최초로 분리 및 배양에 성공했고 헬리코박터균에 의해 위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공로로 2005년에 노벨의학상을 수상받았다.

헬리코박터균은 나사 모양의 미호기성 그람 음성 세균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위에서 서식한다. 위 점막 안쪽 상피세포 가까운 곳에서 발견되며 주로 구강을 통해 전염되고 염증과 궤양, 위암을 포함하여 다양한 위병증을 일으킨다. 헬리코박터균의 나선 모양은 위의 점액을 뚫기위해 진화한것으로 생각된다.

헬리코박터균이 병원성을 나타내는 기작은 몇가지 과정을 통해서 진행된다. 먼저 편모(flagella)를 회전시켜 위의 점액질을 뚫고 들어간다. 점액질을 통과해가는 과정에서 세가지 효소를 분비하는데 첫째는 유리에이즈(urease)이다. 유리에이즈는 요소(urea)를 분해하고 암모니아(ammonia)를 생성한다. 생성된 암모니아는 위의 강한 산성을 중화시켜 세균을 보호한다. 그리고 남은 두가지 효소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와 뮤시네이즈(mucinase)이다. 이 두 효소는 세균이 위의 표피세포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 뒤 세균이 표피세포에 부착하고 여러가지 독소를 표피세포에 분비하여 염증을 유발한다.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면 욕지기와 통증, 구토와 열이 발생하고 약 1-2주간 증상이 지속된다. 만약 균이 위장에 균 집락(colonization)을 형성했다면 수 년 또는 평생 체내에 존재하게된다. 통계에 따르면 위궤양의 약 50-80%, 그리고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약 90%가 헬리코박터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위암 발병에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치료 방법은 테트라싸이클린 계열 항생제를 이용한다.

사진1. 헬리코박터균의 전자현미경 사진, 출처:gettyimages

사진 2, 소장에 침투한 헬리코박터균의 사진 (갈색 = 헬리코박터균)

참고문헌

1.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학. 2017.

2. Butcher, Graham P. (2003). Gastroenterology: An Illustrated Colour Text. Elsevier Health Sciences. p. 25. ISBN 0-443-06215-3.

3. Yamaoka, Yoshio (2008). Helicobacter pylori: Molecular Genetics and Cellular Biology. Caister Academic Pr. ISBN 1-904455-31-X.

4. Brown LM (2000). 'Helicobacter pylori: epidemiology and routes of transmission' (PDF). Epidemiol Rev. 22 (2): 283–97. PMID 11218379. doi: 10.1093/oxfordjournals.epirev.a018040.

5. Butcher 2003, pp. 24–5.

6. Ryan, Kenneth (2010).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Hill. pp. 573, 576. ISBN 978-0-07-160402-4.

7.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05'. Retrieved 2 August 2008.

8. Amieva MR, El-Omar EM (January 2008). 'Host-bacterial interactions i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Gastroenterology. 134 (1): 306–23. PMID 18166359. doi: 10.1053/j.gastro.2007.11.009.

9. Schreiber S, Konradt M, Groll C, Scheid P, Hanauer G, Werling HO, Josenhans C, Suerbaum S (April 2004). 'The spatial orient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 the gastric mucus'. Proc. Natl. Acad. Sci. U.S.A. 101 (14): 5024–9. PMC 387367 Freely accessible. PMID 15044704. doi: 10.1073/pnas.0308386101.

10. Petersen AM, Krogfelt KA (May 2003). 'Helicobacter pylori: an invading microorganism? A review'. FEMS Immunol. Med. Microbiol. 36 (3): 117–26. PMID 12738380. doi: 10.1016/S0928-8244(03)00020-8.

11. Mobley, Harry L. T. (2001-01-01). Mobley, Harry LT; Mendz, George L.; Hazell, Stuart L., eds. Helicobacter pylori: Physiology and Genetics. Washington (DC): ASM Press. ISBN 1555812139. PMID 21290719.  

집필 : 이은진/경희대학교

동의어

헬리코박터균, Helicobacter pylori, 헬리코박터균(helicobacter pyl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