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충호르몬

유충호르몬

[ juvenile hormone , 幼蟲~ ]

약어 JH
유충호르몬

유충호르몬 JH Ⅰ: R1, R2=C2H5, R3=CH3
JH Ⅱ: R1=C2H5, R2, R3=CH3
JH Ⅲ: R1, R2, R3=CH3
JH O: R1, R2, R3=C2H5

JH로 약기. 곤충의 알라타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에폭시-세스퀴테르페노이드로 구조가 약간 다른 활성물질, JH I, JH II, JH III, JH O 등이 있고 가장 보편적인 것은 JH III이다. 그 주요 작용으로는 유충기에는 유충 형질 유지, 성충기에는 난소 성숙 등 생식기능의 발달을 들 수 있다. 유충기에 있어 유충호르몬이 분비된 후에 전흉선호르몬이 분비되면 유충 탈피를 일으킨다.

종령(終齡)이 되면 유충호르몬 분비가 저하되기 때문에 번데기화(불완전변태 곤충에서는 성충화)가 일어난다. 바퀴의 암컷성충에서는 난소발육시 지방체에서 비텔로제닌의 합성, 방출, 난모세포로의 도입이 유충호르몬의 지배를 받고 있다.

이 외에 성페로몬을 생산하기도 하고 메뚜기류 등에서 녹색으로의 체색변화를 촉진하는 작용도 있으며, 이화명나방 등의 휴면유충에서는 유충호르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뇌로부터 전흉선자극호르몬 분비가 억제되어 휴면이 유지된다. 일부 곤충에서는 알라타체의 유충호르몬 분비는 억제성 또는 억제성과 촉진성 2종류의 신경분비인자를 매개로 하여 뇌간부의 지배를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유충호르몬은 혈림프 내에서 유충호르몬 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불활성화되고 그 농도는 알라타체에서의 분비와 혈림프내 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활성에 의해 정해진다. 유충호르몬은 스테로이드호르몬과 같이 표지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핵으로 이행하며 전사 수준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의어

neotenin, 알라타체호르몬(~體~, juvenile hormone), 용화억제호르몬(蛹化抑制~, juvenile hormone), 유약호르몬(幼若~, juvenile horm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