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교육이 궁금해!

소프트웨어 교육이 궁금해!

주제 정보(전산), 사회
칼럼 분류 일반기사
칼럼 작성일 2016-01-11
원본보기
소프트웨어 교육이 궁금해! 본문 이미지 1

2018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이 정규교과로 들어온다. 초등학교 17시간, 중학교 34시간으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모든 학생이 배우는 의무교육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2014년 정부의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선언 이후 불과 1년 만에 정규교과 편성이 결정됐다. 수년에 걸쳐 천천히 바뀌는 교육계 입장에서 이 같은 변화는 당황스럽다. 소프트웨어 교육이라는 게 뭐기에 정부는 이렇게 서두를까?

■ 우리만 바쁜 게 아니다
그런데 나라 밖으로 눈을 돌리면 우리만 서두르는 게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9개 주, 일본, 중국, 이스라엘, 에스토니아, 핀란드 등은 일찌감치 소프트웨어 교육을 고등학교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다.

영국은 여기에 한술 더 떠서 2014년부터 5세부터 16세까지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적으로 가르치겠다고 선언했다. 어릴 때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겠다는 거다. 유사 이래 교육계에 이런 ‘호들갑’은 없었다. 이 같은 각 나라의 ‘호들갑’에는 소프트웨어 능력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확신이 깔렸다.

마크 앤드리슨은 2011년 <월스트리트 저널>에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집어삼키는 이유”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소프트웨어가 다른 산업을 집어삼킨 사례를 소개했다. 그 뒤로 5년이 지난 지금, 소프트웨어의 영향력은 당시보다 훨씬 더 커졌다. 이 변화는 예전 산업의 변화처럼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단숨에, 그리고 매우 파괴적으로 진행됐다.

사례는 너무나 많다. ‘카카오톡’은 통신사의 주 수익원이었던 문자 서비스를 집어삼켰다. 배달 앱의 등장으로 광고전단 회사들은 고사 직전에 이르렀다. 택시 운전사의 반발을 일으킨 우버(Uber)는 어떤가? 당장은 정부가 나서 택시 운전사를 보호해 줬지만, 이들의 입지는 위태롭기 짝이 없다. 수년 내에 무인자동차의 시대가 올 테니 말이다. 구글, 애플, 삼성전자 같은 IT 강자들이 자동차 산업에 뛰어든 지 오래다.

■ 내 직업은 안전할까?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영국 옥스퍼드대 옥스퍼드 마틴 스쿨 연구팀은 ‘20년 내 로봇이 대체할 일자리’를 연구했다. 텔레마케터, 조립라인 생산직, 운동경기 심판, 물류 직원 등은 98~99% 대체할 수 있다. 직업 자체가 없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얘기다. 미래에 자신의 직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확인해보기 바란다.

☆ Will Your Job Be Done By A Machine?

단순 지식이나 반복적인 육체활동을 하는 기술은 기계와 소프트웨어가 대신할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인간의 전유물로 생각했던 분야들에도 소프트웨어가 침투해 들어왔다. 경제지 <포브스>는 매일 주식 시황 정보 기사 수십 건을 쏟아내는데, 기자 대신 소프트웨어가 기사를 쓴다. 간단한 정보성 기사의 경우, 기자가 쓴 기사와 소프트웨어가 쓴 기사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다. 금융상품도 소프트웨어가 만든다.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적합한 상품을 만들어낸다.

이 흐름을 되돌릴 수는 없다. 만약 우리 아이들이 소프트웨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이같이 거대한 흐름에 삼켜질 수밖에 없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취지는 모두가 프로그래머가 되라는 뜻이 아니다. 미래 사회의 거대한 변화를 인지하고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지배할 줄 아는 사람이 되라는 뜻이다. 교육자, 의사, 법조인, 심지어 예술가까지! 어떤 직업을 갖든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 소프트웨어 교육이란?
교과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컴퓨터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를 길러내는 교육”이라고 정의한다. 무슨 뜻인가? 컴퓨터는 사람이 내린 지시에 따라 판단하고 명령을 수행한다. 이 판단 기준을 정하고 적절한 명령을 내리는 논리적인 사고가 바로 ‘컴퓨터적인 사고’다.

컴퓨터적인 사고는 3가지 단계를 거친다. 먼저 문제(또는 시장의 필요)를 해결할 방법을 설계해야 하며, 다음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코딩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까지는 가상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이므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현실 세계로 나올 수 있는 디바이스(스마트폰, PC, 로봇 등)가 필요하다. 이 과정을 거치면 문제를 해결(상품과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코딩하는 방법, 디바이스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는 게 핵심이 아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리를 만드는 설계가 더 중요하다. 그래서 수학적, 과학적 소양이 충실한 사람이 컴퓨터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을 잘할 수 있다.

컴퓨터적 사고 3단계

컴퓨터적 사고 3단계

준비가 부족한 가운데 시작한 만큼, 교육 현장의 어려움은 심각하다. 가르칠 교사도, 교육 프로그램도, 교구도 턱없이 부족하다. 상당 기간 진통을 겪을 것이 불 보듯 뻔하지만, “탁상공론으로 급하게 만들더니”라는 식의 비난은 자제하자. 부족한줄 알지만 서둘러 시작했다. 소프트웨어 교육은 거부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

  • 김정훈 - 동아사이언스 SW융합교육팀장

연관목차

614/1661
FUSION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