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준

이상준

[ 李尙俊 ]

요약 작곡가(신민요)·음악교육자.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 출신. 황해도 재령군(載寧郡) 남율면(南栗面) 좌곡리(左曲里) 출생. 양악(洋樂)의 선구자.
출생 - 사망 1884년 ~ 1948년
이상준

12세 때인 1896년 상경해 정동(貞洞)에 있는 피어슨성경학교에 입학해 신교육을 받으며 손풍금을 배웠다.

15세에 평양으로 가 안창호(安昌浩)가 설립한 대성학교(大成學校)에서 음악을 가르쳤다. 몇 년 후 다시 상경해 중앙(中央)·보성(普成)·휘문(徽文)·숙명(淑明)·진명(進明)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쳤다. 그 후 조선정악전습소의 조선악과(朝鮮樂科)에 입학해 가곡(歌曲)을 전공했으며, 조선정악전습소의 김인식(金仁湜)에게서 서양음악의 이론을 배웠다. 조선정악전습소 조선악과의 제2회 졸업생인 그는 현금과의 민병섭·김용적, 가야금과의 육정수·박서양 및 양금과의 유명근·임병찬·김정식 등과 함께 1913년에 졸업하였다.

1920년 9월 배화학당(培花學堂)에서 열린 경성청년구락부 주최 음악대회에 출연하여 "행진곡"(行進曲)·"늘님"·"자진난봉가"를 공연했다. 1934년 5월 8일 하규일(河圭一)에게서 고악(古樂)을 배워 발표했다. 1934·1935년 가곡 언락(言樂)·우락(羽樂)·우조두거(羽調頭擧) 등 여러 곡을 방송하기 위해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에 출연하였다.

1939년 조선음악가협회(朝鮮音樂家協會)에서 양악 초창기의 공로자로 표창장을 받았다. 일생 음악교사로 지내면서 서양음악의 보급에 주력했고, 전통음악을 서양의 오선보에 채보했으며, 창가 작곡을 비롯해 창가집을 간행하였다.

조선속곡집』(朝鮮俗曲集 1913)의 발간을 비롯해 『풍금독습중등창가집』(風琴獨習中等唱歌集)·『악리부중등창가집』(樂理附中等唱歌集)·『중등창가집』(中等唱歌集)·『보통악전대요』(普通樂典大要)·『조선신구잡가』(朝鮮新舊雜歌)·『신유행창가집』(新流行唱歌集)·『신선속곡집』(新選俗曲集) 등을 출간하였다.

『신찬속곡집』 표지

『신찬속곡집』 표지

일제강점기 그가 작곡한 오선보의 "新文界는 우리의 벗"을 『新文界』(1914) 2권 9호에 발표했고, 그의 노래 가사는 "新年노래"를 『新文界』(1915) 3권 1호에 발표됐으며, 그가 작곡한 오선보의 "새해" 및 "나"와 "여름"을 『靑春』(1915) 4호 및 『靑春』(1917) 8호와 9호에 발표하였다. 『東光』(1931) 22호에 발표한 홍종인의 "半島樂團人 漫評"에서 그가 창가집을 많이 출간했다는 만평이 소개됐다.

그가 작곡한 창가로는 "접"(蝶)·"의"(蟻)·"시계"(時計)·"우"(雨)·"효순"(孝順)·"사(師)의 은(恩)"·"춘래"(春來)·"하"(夏)·"하기휴업"(夏期休業)·"해"(海)·"수학여행"(修學旅行)·"안"(雁)·"신년"(新年)·"동"(冬)·"추"(秋)·"은사"(隱士)·"운동가"(運動歌)·"석별"(惜別)·"청산"(靑山)·"성"(星)·"공부"(工夫)·"산수"(山水)·"일요일가"(日曜日歌)·"아(我)의 학우(學友)"·"등화"(燈火)·"춘풍"(春風)·"권학가"(勸學歌)·"농부가"(農夫歌)·"기차가(汽車歌)"·"등산"(登山)·"압흐로"·"부모(父母)의 생각"·"운"(雲)·"휘문야구응원가(徽文野球應援歌)"·"휘문교가(徽文校歌)"·"세모"(歲暮)·"송백"(松栢)·"보성야구응원가(普成野球應援歌)"·"어부"·"아(我)의 가정(家庭)"·"월"(月)·"연화"(蓮花)·"조기"(朝起)·"몽은곡"(蒙恩曲)·"졸업식가"(卒業式歌)·"식수"(植樹)·"목단봉가"(牧丹峯歌)·"사구라"·"대양"(大洋)·"사모곡"(思母曲)·"월하행선"(月下行船)·"덕성보교교가(德盛普校校歌)"·"비행기"(飛行機)·"학교기념가"(學校紀念歌)·"학생추도가"(學生追悼歌)·"인택"(仁宅)·"정구가"(庭球歌)·"망향가"(望鄕歌)·"보성고보교가"(普成高普校歌) 등이 있다.

이상준 작곡의 "추색"

이상준 작곡의 "추색"

해방 후 1955년 음악교육자의 생활을 한 공로로 백우용(白禹鏞)·김인식(金仁湜)과 함께 조선음악가협회(朝鮮音樂家協會)의 표창을 받았다.

참고문헌

  • 『한겨레음악인대사전』 宋芳松, 서울: 보고사, 2012년, 646~47쪽

참조어

리상준(李尙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