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가요량

생가요량

[ 笙歌寥亮 ]

요약 조선초기 향악(鄕樂)의 한 곡명.

시용향악보』 소재 평조(平調)의 이 곡은 16정간의 32각(刻)으로 구성됐다.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생가요량"은 정재(呈才)의 창사(唱詞)로 쓰였다. 일자일음식(一字一音式, syllabic)의 순한문 가사로 된 이 노래는 특수한 장단형 때문에, 중국의 고취악 계통의 음악으로 추정되고 있다.

『시용향악보』 소재 "생가요량"

『시용향악보』 소재 "생가요량"

"생가요량정옥정(笙歌寥亮呈玉庭) 위보성수만년만만수(爲報聖壽萬年萬萬壽) 전계전배연회(玉殿階前排筵會) 금소추일도신선(今宵秋日到神仙)."

생가요량 본문 이미지 1

『시용향악보』 소재 정간보의 새로운 해독법에 의거하여 역보된 5선보는 위와 같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184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48, 263, 302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386쪽
  • 『時用鄕樂譜복원악보집』 文淑姫, 서울: 학고방, 2012년, 64쪽

관련이미지

시용향악보 / 생가요량

시용향악보 / 생가요량 고려와 조선 전기의 사악 곡명. ≪시용향악보≫에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