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질려

백질려

[ 白蒺藜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평平

백질려 본문 이미지 1
백질려 본문 이미지 2
백질려 본문 이미지 3

다른이름 屈人(굴인), 旁通(방통), 白蒺藜子(백질려자), 升推(승추), 豺羽(시우), 茨(자), 止行(지행), 蒺藜(질려), 蒺藜子(질려자)
약맛 고(苦) 신(辛)
귀경 간(肝) 폐(肺)
주치 缺乳, 頭痛, 瘰癧, 目赤腫痛, 羞明流淚, 濕瘡, 乳岩, 積聚, 風疹, 眩暈, 胸脇疼痛
약용부위 열매

금기

血虛氣弱者는 복용을 해서는 안 된다.
본품은 催生墮胎 작용이 있으므로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효능

祛風明目, 散結祛瘀, 疏肝解鬱, 止痒
平肝潛陽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어혈(瘀血), 징가(癥瘕), 적취(積聚), 갑작스러운 인후 폐색을 치료하며 난산(難産)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살집이 좋아지고 눈이 밝아지면 몸이 가벼워진다.
: 풍사(風邪)의 침범으로 피부가 가렵고 폐(肺)의 손상으로 기침이 심하고 숨이찬 증상을 치료한다. 가슴이 답답한 것을 풀어주고 하기(下氣)시킨다. 소아의 머리 부위 부스럼과 종기 및 음부(陰部)의 궤양등에 가루를 만들어 바른다.
견권(甄權): 풍사(風邪)의 침범으로 인한 각종 부스럼을 치료하고 고름을 토하는 증상을 낫게 하며 진액부족으로 인한 발열을 없앤다.
지대명(池大明): 신기(腎氣)가 상부(上部)로 치솟는 증상을 치료하며 폐기(肺氣)가 흉부에 울체되어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분만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태아를 배출시킨다. 정기(精氣)을 충만하게 하고 신(腎)이 허랭(虛冷)한 것을 치료하여 소변을 자주보고 정액이 저절로 흘러나가는 증상을 그치게 하고 소변에 피가 섞이고 음부(陰部)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소송(蘇頌): 치질을 치료하고 음부(陰部)에 땀이 나는 증상을 치료하며 여성은 젖을 나오게 하고 대하를 치료한다.
이시진(李時珍): 血虛한데 風邪가 침범하여 변비가 있는 것을 치료하며 蛔蟲을 없애고 복통을 멎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자(茨), 방통(旁通), 굴인(屈人), 지행(止行), 시우(豺羽), 승추(升推)가 있다.
도홍경(陶弘景): 길가와 담장 위에 많이 자라며 잎은 땅에 퍼져있고 씨앗에는 가시가 있어서 모양이 마름(릉(菱))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다. 장안(長安)에는 너무 무성하게 자라기 때문에 사람들이 다닐 때 나무신을 신고 다니는 사람이 많다. 지금 병가(兵家)에서는 주물로 그것을 만들어 길에 깔아 놓는데, 그것을 철질려(鐵蒺藜)라고 한다. 에서는 질려(蒺藜)에 의거하여 흉상(凶傷)이라고 하였다. 에서는 담장 위의 자(茨)는 쓸어내면 안되는데, 그것을 쓸어내면 가시가 더욱 어지러워진다고 하였다. 처방에서 사용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이시진(李時珍): 질(蒺)은 아프게 한다는 뜻이고 려(藜)는 날카롭다는 말이다. 자(茨)는 가시라는 뜻이다. 즉 이 약초는 가시로 사람을 찌른다는 말이며 매우 날카롭고 아프다. 굴인(屈人), 지행(止行)이라는 것은 모두 이 약초가 사람을 찔러서 손상시키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