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릉

삼릉

[ 三稜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평平, 소음인

삼릉 본문 이미지 1
삼릉 본문 이미지 2

다른이름 紅蒲根(홍포근), 荊三稜(형삼릉), 光三稜(광삼릉), 京三稜(경삼릉)
약맛 고(苦) 신(辛)
귀경 간(肝) 비(脾)
주치 扑損瘀血, 産後腹痛, 食積氣滯, 心腹疼痛, 瘀血經閉, 脘腹脹痛, 癥瘕積聚, 瘡腫堅硬, 血瘀痛經, 脇下脹痛
약용부위 덩이줄기

처방

당관음자(撞關飮子)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烏藥, 분량 : 1.2, 단위 :錢
본초명 : 白豆蔲,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三稜,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丁香,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沈香,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香附,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縮砂仁, 분량 : 0.8, 단위 :錢

대이향산(大異香散)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陳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姜, 분량 : 적당량
본초명 : 藿香,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桔梗,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半夏麯,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三稜,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莪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枳殼,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靑皮,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香附,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益智仁, 분량 : 0.5, 단위 :錢

금기

본품은 去瘀力이 강하므로 月經過多者와 體弱者 및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효능

消積和胃, 破血祛瘀, 行氣止痛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積聚(적취), 癥瘕(징가)를 치료하고 출산 후 瘀血(어혈)로 유발되는 증상들을 치료하며 月經(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낙태시킨다. 통증을 그치게 하고 氣(기)를 잘 통하게 한다.
池大明(지대명): 氣(기)가 잘 통하지 않아서 배가 빵빵해지는 증상을 치료하고 氣(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며 外傷(외상)으로 인한 어혈을 제거하고 여성의 월경이상을 치료한다. 복통을 치료하고 출산 후 복통과 어지러움증을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가슴부위 통증과 소화불량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肝經(간경)의 血(혈)을 잘 통하게 하고 종기가 단단하게 부은 것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젖이 잘 나오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京三棱(경삼릉), 草三棱(초삼릉), 鷄爪三棱(계조삼릉), 黑三棱(흑삼릉), 石三棱(석삼릉), 荊三稜(형삼릉)이 있다.
蘇頌(소송): 三棱(삼릉)은 잎에 세 개의 모서리가 있다. 荊(형)과 楚(초) 지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荊三稜(형삼릉)이라고 명명함으로써 지역명칭을 넣었다. 에서는 京(경)이라는 글자를 잘못 붙였고 또한 草三棱(초삼릉), 鷄爪三棱(계조삼릉)이 다시 나오며 蜀(촉) 땅에서 생산되며 2월과 8월에 채취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실 하나의 약물이며 모양에 따라 명명한 것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