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모근

백모근

[ 白茅根 ]

분류 과학기술/의약 > 약재설명

무독, 한寒

백모근 본문 이미지 1
백모근 본문 이미지 2
백모근 본문 이미지 3

다른이름 蘭根(난근), 茅根(모근), 白花茅根(백화모근), 絲茅(사모), 茹根(여근), 地菅(지관), 地筋(지근)
약맛 감(甘)
귀경 폐(肺) 위(胃) 방광(膀胱)
주치 嘔血, 尿血, 衄血, 痰中帶血, 濕熱癃閉, 濕熱黃疸, 熱淋, 胃熱嘔噦, 吐血, 肺熱咳嗽, 風水水腫, 咳血
약용부위 뿌리줄기

처방

백모탕(白茅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葵子, 분량 : 1.15, 단위 :錢
본초명 : 白茅根,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瞿麥, 분량 : 3.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桃膠,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半夏,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石首魚腦砂, 분량 : 2, 단위 :箇
본초명 : 人蔘, 분량 : 1.15, 단위 :錢
본초명 : 紫貝, 분량 : 1, 단위 :箇
본초명 : 蒲黃,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滑石, 분량 : 7.5, 단위 :錢
본초명 : 姜, 분량 : 3, 단위 :片
본초명 : 白茯笭, 분량 : 1.15, 단위 :錢

강밀탕(薑蜜湯)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生薑, 분량 : 7, 단위 :片
본초명 : 白茅根, 분량 : 1, 단위 :握
본초명 : 蜜, 분량 : 0.5, 단위 :盃

금기

脾胃虛寒者와 溲多不渴者는 服用을 忌한다.

효능

凉血止血, 利濕退黃, 淸熱利尿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 과로로 인한 쇠약을 치료하고 脾胃(비위)를 돕고 기운을 북돋우며 어혈을 제거하고 寒熱往來(한열왕래)를 치료하고 소변을 시원하게 한다.
: 소변이 시원하지 않은 것을 치료하고 腸胃(장위)에 熱邪(열사)가 침범한 것을 제거하고 갈증을 멎게 하고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婦人(부인)의 崩漏(붕루)를 치료하고 오래 먹으면 좋다.
池大明(지대명): 부인의 생리이상을 치료하고 기혈소통을 촉진하고 소변이 시원하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흘리는 등 모든 출혈증상에 사용할 수 있으며, 傷寒病(상한병)과 트림을 치료하고 肺熱(폐열)로 인하여 기침을 심하게 하는 경우와 황달, 水腫(수종)을 치료하고 술을 해독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根名茹根(근명여근), 蘭根(난근), 地筋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띠풀의 잎이 긴 창과 같아서 茅(모)라고 부른다. 그 뿌리가 계속해서 연결되어 있으니 소여물 같다고 한 것이다. 에서 띠를 뽑으니 소여물 같이 이어졌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 여러 종류가 있는데, 여름에 꽃이 피는 것이 茅(모)이고 가을에 꽃이 피는 것이 菅(관)이다. 두 가지 약물은 효능이 매우 비슷하지만 다르게 부른다. 에서 띠풀을 하얗게 표백하면 흰 띠풀로 묶어두네(白華菅兮, 白茅束兮)’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에서는 茅(모)와 菅(관)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았으며, 茅根(모근)은 일명 地菅(지관), 地筋(지근)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름은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약재편에 地筋(지근)이라는 말이 다시 나오는데 일명 菅根(관근)이라고 하였다. 대개 이 두 가지 약물의 뿌리의 모양이 근육과 비슷하므로 모두 地筋(지근)이라고 불렀으나 茅(모)를 菅(관)이라고 부를 수 없으니 그것을 바로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