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스식토기

유스식토기

[ 夜臼式土器 ]

일본 큐슈(九州)의 죠몬시대(繩文時代) 종말기의 토기형식으로 후쿠오카켄(福岡縣) 가스야군(粕屋郡) 신구우마치(新宮町)에 소재하는 유스유적 출토 토기를 표지로 한다. 후쿠오카시(福岡市) 이다즈케(板付) 유적에서 더욱 양호한 유물이 출토되어, 신고(新古) 관계가 밝혀지게 되었다. 조개껍질〔貝殼〕로 정면한 조흔문(條痕文)을 가진 조제(粗製) 토기로서, 구연 및 동부 중위에 새김덧띠무늬〔刻目突帶文〕가 돌려져 있는 독모양토기〔甕形土器〕가 그 특징이다.

유스, 이다즈케 유적 등에서 유스식토기가 최고(最古)의 야요이식토기(板付Ⅰ式土器)와 공반된다는 사실이 확인되므로, 죠몬시대, 야요이시대(彌生時代)의 접촉점 혹은 야요이시대 개시기를 이해하는데 많은 중요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북부 큐슈에서 새김덧띠무늬토기〔刻目突帶文土器〕를 전후로 하는 시기의 양호한 유적이 계속 발견·조사되어 새로이 중요한 문제가 제기된다. 그것은 종래의 유스식토기보다 더욱 이른 새김덧띠무늬토기 단순기가 확인되고, 그 시기에 논농사(水稻農耕)의 증거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북부 큐슈의 새김덧띠무늬토기의 기종구성은 독·항아리〔壺〕·얕은바리〔淺鉢〕·바리〔鉢〕·굽다리접시〔高杯〕와 약간의 특수기형으로 구성된다. 독모양토기는 4종류로 분류되는데, Ⅰ류는 저부에서 내경하면서 세워진 형태로, 구연부에는 한 줄의 새김덧띠를 붙인다. Ⅱ류는 Ⅰ류와 같은 기형으로 구신부(口身部)에 직접 새김무늬가 돌려져 있다. Ⅲ류는 기형이 Ⅰ류와 같으나 새김덧띠가 없으며, Ⅳ류는 동체상부에서 ‘く’자형으로 내만하여 구연부와 굴곡부에 새김덧띠를 돌린다. 굴곡부에 돌대가 없는 것도 있다. 항아리모양토기는 크기를 기준으로 해서 대·중·소의 3종류로 나눈다. 이른 단계는 둥근바닥〔丸底〕이 많고, 늦은 것은 편평바닥〔平底〕이 많아진다. 구연부는 약간 외반하여, 목은 완만하게 벌어지며, 단 내지 침선이 돌려진다. 동체부는 소·중형항아리가 구형을 띠고, 대형 항아리는 약간 동체가 긴 형태이다. 항아리모양토기는 액체저장용 또는 곡물저장용 용기로서 제사와 무덤에 쓰이는 공헌토기(供獻土器)로 사용되었는데, 성스러운 토기라 하여 주로 산화철(酸化鐵)을 전면에 입힌다.

붉은간토기항아리〔丹塗磨硏壺〕라는 새로운 정제토기(재래식 정제토기는 얕은바리)인 항아리가 제작되기 시작하는데, 농경과 더불어 한반도 민무늬토기〔無文土器〕를 계승한 새로운 기종으로서, 정(精)·조(粗)의 차이를 가진 전통적인 죠몬토기 양식구조의 변화를 의미한다. 붉은간토기항아리의 출현과 함께 조제의 민무늬항아리와 얕은바리의 감소, 그리고 내경접합수법(內傾接合手法)이 외경접합수법(外傾接合手法)으로 대체되는 현상은 죠몬만기 유스식토기 시기에 시작하여 이다즈케Ⅰ식 시기에 끝난다.

종래의 새김덧띠무늬토기의 편년은, 야마노데라식(山ノ寺式)→하라야마식(原山式)→유스식의 순서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 편년은 지역적으로 큰 차이가 있어 지역차와 시간차이가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있었다. 야마사기스미오(山崎純男)는 이다즈케 유적의 조사 성과를 기초로 북부 큐슈에서의 새김덧띠무늬토기가 유스Ⅰ식→유스Ⅱa식→유스Ⅱb식→(+)→가메노고오식(龜ノ甲式)으로 변천하면서, 야요이시대까지 이어진다는 편년관을 제시하였다. 즉 유스Ⅰ·Ⅱa식이 새김덧띠무늬토기 단순기이며, 유스Ⅱb식이 종래의 유스식토기라 규정했다. 유스Ⅰ식토기 이후에 공반되는 붉은간토기항아리는 논농사〔稻作農耕〕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그 조형이 한반도의 붉은간토기에 연결된다. 논농사 증거의 존재로 인해서 새김덧띠무늬토기를 야요이시대에 편입시켜, 야요이시대 초창기로 설정하려는 설도 있다. 새김덧띠무늬토기는 항아리모양토기를 제외한 나머지는 죠몬토기의 계보를 계승한 것은 확실하다.

1981년 사가(佐賀) 나바다케(菜畑) 유적의 야마노데라기(山ノ寺期, 9∼12층) 위에서 죠몬만기 종말기에 해당되는 유우스식토기(夜臼式土器) 단순기의 논〔水田〕이 검출되었다. 이 시기의 논농사는 북부 큐슈에서도 가라츠(唐津), 이토시마(湛島), 이사라(早良), 후쿠오카(福岡)의 각 평야와 아리타(有田), 이다즈케(板付), 에츠지(江蔑)유적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겐카이나다(玄界灘) 연안의 극히 일부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해된다. (정한덕)

유스식토기 (夜臼式土器) 일괄 (福岡縣 1~4.10.13.14.16, 板付 5~9.11.12.15)

유스식토기 (夜臼式土器) 일괄 (福岡縣 1~4.10.13.14.16, 板付 5~9.11.12.15)

참고문헌

  • 夜臼式土器(日本土器事典, 山崎純男, 大川淸 外, 雄山閣, 199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