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저동

현저동

[ Hyeonjeo-dong , 峴底洞 ]

요약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법정동.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면적(㎢) 0.52㎢
행정구분 법정동
문화재 서울 영은문주초(사적), 서울 독립문(사적),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사적)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천연동(일부)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홍제동, 동쪽으로는 종로구 교북동·무악동, 서쪽으로는 봉원동·신촌동, 남쪽으로는 북아현동·영천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0.52㎢로 서대문구 전체 면적의 2.9%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성외)에 속한 지역이었다. 고종 때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지하계에 속했고, 갑오개혁 이후 한성부 서서(西署) 반송방 지하계 모화현이 되었다. 1911년 4월 1일 경성부 서부 모화현이 되었고, 1914년 4월 1일 경성부 현저동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현저정으로 개칭되었고, 1943년 6월 10일 구(區)제도의 실시로 서대문구의 관할이 되었다. 광복 후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현저정에서 현저동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서대문구 현저동이 되었다.

현저(峴:고개 현, 底:밑 저)라는 지명은 이 지역이 인왕산안산이 이어지는 무악현의 아래에 위치한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현황

서쪽 일대는 대부분 안산(295.9m)에서 이어진 산지가 차지하고 있다. 동쪽으로 통일로와 접한 일대에 서대문독립공원이 위치한다. 서대문독립공원은 일제강점기 당시 조국을 위해 항거했던 애국지사의 자주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해 조성되었으며 1992년 개장했다가 2009년 시설을 정비하여 재개장했다. 이 곳에는 독립문, 독립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3.1독립선언기념탑, 순국선열추념비 등이 있으며, 인근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들어서 있다. 

동쪽으로 통일로, 남쪽으로 성산로와 접한다. 철도 시설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독립문역을 경유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고등학교 1개교(한성과학고등학교) 등이 있다.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로는 서대문경찰서 교통정보센터, 서대문구립이진아기념도서관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서울 영은문 주초(사적), 서울 독립문(사적),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사적) 등이 있다. 조선시대 현저동에는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모화관(慕華館)이 있었고 그 앞에 영은문(迎恩門)이 있었다. 서재필 주도의 독립협회는 우리나라가 자주독립국임을 알리기 위해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1897년 완공)을 세웠고, 영은문은 두 개의 주춧돌만 남게 되었다. 한편, 서대문형무소는 일제 통감부가 독립운동가들을 투옥하기 위해 지은 감옥으로 현재는 역사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참조항목

서대문구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