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원동

봉원동

[ Bongwon-dong , 奉元洞 ]

요약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법정동.
안산

안산

위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면적(㎢) 0.43㎢
행정구분 법정동
문화재 무악산동봉수대터(서울시 기념물), 봉원사 아미타괘불도(서울시 유형문화재), 봉원사 범종(서울시 유형문화재), 반야암 목조관음보살좌상(서울시 유형문화재), 용암사 현왕도(서울시 유형문화재)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신촌동(일부)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홍제동, 동쪽으로는 현저동, 서쪽으로는 연희동, 남쪽으로는 대신동·신촌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0.43㎢로 서대문구 전체 면적의 2.4%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희방(성외)에 속한 지역이었다. 1911년 4월 1일 경성부 연희면 봉원사의 명칭이 나타났고, 1914년 4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봉원리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다시 경성부에 편입되어 봉원정으로 개칭되었다. 1943년 6월 10일 구(區)제도의 실시로 서대문구의 관할이 되었고, 광복 후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봉원정에서 봉원동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서대문구 봉원동이 되었다.

봉원이라는 지명은 이 마을에 봉원사(奉元寺)라는 절이 위치한 데서 유래하였다.

현황

북쪽으로 안산(295.9m)이 위치하고 대부분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안산은 인왕산(338m)에서 서쪽으로 무악재를 지나 이어진 산지로 무악(毋岳)이라고도 불리며 정상 근처에는 조선시대의 봉수대가 있었던 무악동 봉수대터가 위치한다. 또한 안산 자락에는 한국불교 태고종에 소속된 전통사찰인 봉원사와 용암사 등이 자리잡고 있다. 동 중앙에는 일부 주거 지역이 분포하며, 신촌 대학가와 가까운 탓에 한 때는 대학생들을 위한 하숙집이 밀집했었다.  

문화재로는 무악산 동봉수대 터(서울시 기념물), 봉원사 아미타괘불도(서울시 유형문화재), 봉원사 범종(서울시 유형문화재), 반야암 목조관음보살좌상(서울시 유형문화재), 용암사 현왕도(서울시 유형문화재) 등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