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림동

죽림동

[ Jungnim-dong , 竹林洞 ]

요약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동.
가락동 국군용사충혼탑

가락동 국군용사충혼탑

위치 부산 강서구
문화재 김해 죽도성(사적 51)

원래 김해군 가락면 죽림리(竹林里)·식만리(食滿里)·죽동리(竹洞里)·봉림리
의 한 마을이었다. 1989년 가락면이 부산직할시 강서구로 편입되어 가락동이
되면서 죽림리도 죽림동으로 바뀌어 강서구 죽림동이 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이 되었다. 죽림동은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가락동 관할하에 있다. 지명은 갈대가 많아 홍수가 나면 바닷속의 대섬[竹島]처럼 보였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고정(古井)·등·죽림 등의 자연마을과 여새미·죽림도선장이 있다. 용등마을의 지명은 지세가 용처럼 생겼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여새미는 오봉산에 있는 우물이며, 죽림도선장은 죽림동과 강동동의 죽도를 연결하던 나루터인데, 1973년 강동교가 가설되면서 기능이 사라졌다.  

유적으로 죽림조개무지, 부사 유덕옥(柳德玉) 애민선정비, 효자 김덕숭(金德崇)정려비, 6·25전몰장병 충혼탑 등이 있다. 죽림조개무지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무지로 죽림마을에 있었으나, 지금은 택지와 경작지가 되었고 빗살무늬토기민무늬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부사 유덕옥 애민선정비는 1702년(숙종 28)에 건립되었는데, 유덕옥은 숙종의 사위로 1700년 김해부사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 효자 김덕숭정려비는 1829년(순조 29)에 건립되었고, 정려비 앞에는 석인상 2기가 있다. 6·25전몰장병 충혼탑은 6·25전쟁낙동강방어선전투에서 전사한 장병 39위를 모신 탑으로, 1993년 6월에 건립되었다.

민속으로 가락오광대와 문화재로 김해 죽도성(사적 51)이 있다. 가락오광대는 1890년대에 시작되어 1937년 중단되었다가 1984년 복원되었다. 교육기관으로 가락초등학교·가락중학교가 있다.

참조항목

강서구, 가락동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