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동

무수동

[ Musu-dong , 無愁洞 ]

요약 대전광역시 중구에 있는 동.
무수동

무수동

위치 대전 중구
문화재 국사봉유적(대전문화재자료 38), 보문사지(대전기념물 4), 보문사지석조(대전문화재자료 10), 여경암·(부)거업재·산신당(대전유형문화재 18), 유회당판각(대전유형문화재 20), 유회당(부)기궁제(대전유형문화재 6), 유회당유물(대전문화재자료 17)

보문산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구완동, 남쪽으로는 목달동, 북쪽으로는 사정동, 서쪽으로는 침산동, 동북쪽으로는 문화1동·대사동·부사동과 접한다. 백제시대에는 우술군(雨述郡), 신라시대에는 비풍군(比豊郡)에 속했고, 조선시대에는 공주목 산내면(山內面) 무수리였다. 1895년(고종 32) 회덕군 산내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전군 산내면 무수리가 되었고, 1935년 대전부가 새로 생기면서 대덕군 산내면 무수리가 되었다. 1989년 대전시의 직할시 승격에 따라 대전직할시 중구 무수동이 되었으며, 1995년부터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이 되었다. 행정동은 산성동이다. 동 이름은 원래 물과 무쇠가 풍부하여 무쇠골(일명 水鐵里)이라 불렀는데, 조선 숙종 때 권기가 정착하면서 그의 호인 무수옹을 따라 지은 것이라 한다.

구석말·노진개·배나무골[梨木洞]·절골 등의 옛마을과 꽃밭날·국사봉·방산(芳山)·운남산·한들뫼들 등의 야산이다. 꽃밭날은 조선 후기의 문신 권이진(權以鎭)이 꽃을 가꾸던 곳이라고 한다.

유적으로는 권유(權惟)의 신도비와 묘, 광영정, 별묘(別廟), 삼근정사(三近精舍), 이춘계(李春啓)의 묘 등이 있다. 광영정은 1710년(숙종 36)년 권이진의 장남 권형징(權泂徵)이 종가의 가묘(家廟) 앞에 세운 정자로서 초가지붕을 얹었고 마루는 사각형이다. 동쪽에 관가헌, 서쪽에 수월란, 북쪽에 인풍루가 있고 뒤쪽에는 연못이 있다. 별묘에는 권이진의 문집 목판각이 보관되어 있다. 삼근정사는 1715년(숙종 41)에 권이진이 부모의 은덕을 생각하여 지은 시묘소이다.

문화재로는 국사봉유적(대전광역시문화재자료 38), 보문사지(대전광역시기념물 4), 보문사지석조(대전광역시문화재자료 10), 여경암·(부)거업재·산신당(대전광역시유형문화재 18), 유회당판각(대전광역시유형문화재 20), 유회당(부)기궁제(대전광역시유형문화재 6), 유회당유물(대전광역시문화재자료 17) 등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