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 남문비

동래 남문비

[ 東萊 南門碑 ]

요약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시립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동래 남문비

동래 남문비

지정종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지정일 1972년 6월 26일
소재지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대연동, 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비붐 높이 125cm, 너비 121cm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동래읍성 남문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부사 송상현(宋象賢)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1670년(현종 11) 남문 밖 농주산에 세운 것으로, 동래충렬비라고도 한다.

1709년(숙종 35) 부사 권이진이 충렬사에 별사를 세우고 옮겨온 것을 1736년(영조 12) 별사가 없어지자 남문 안으로 옮겼다. 비문의 규모는 높이 125cm, 너비 121cm이며 비두석에는 두 마리가 새겨져 있다. 파손 상태가 심해 글자는 알아볼 수 없으나 《동래부읍지》에 비문이 실려 있어, 동래부 군·관·민의 순절사적과 비를 세우기까지의 경위를 적어 놓았음을 알 수 있다.
비문은 1668년(현종 9)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송준길(宋浚吉)이 썼으며, 전자(篆字)는 이정영(李正英)이 썼다. 1976년 도로확장공사로 지금의 위치인 부산시립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