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동

금곡동

[ Geumgok-dong , 金谷洞 ]

요약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동.
금곡동사무소

금곡동사무소

위치 경기 남양주시
면적(㎢) 6.93㎢
문화재 홍릉·유릉(사적 207)
인구(명) 2만 3080명(2008)

경기도 남양주시에 속한 동이다. 쑥고개·돌팍고개·여우고개 등으로 동남북이 둘러싸여 있고, 서쪽으로 홍릉천이 흐른다.

이곳이 미금면이었을 당시, 미금면의 '금' 자와 골이 깊은 계곡이 있다고 하여 '곡' 자를 따서 금곡리라고 한 데서 동 이름이 유래하였다.

1912년에 양주군 미음면에 속하였다. 1914년 미음면의 3개리와 금촌면의 7개리를 합쳐 미금면이 되었다. 1941년에는 양주군 미금면 금곡리로 불렸고, 1979년 양주군 미금읍 금곡리로 바뀌었다. 1980년 양주군에서 분리되어 남양주군이 신설되자, 남양주군 미금읍 금곡리로 바뀐 뒤 1989년 미금시 금곡동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미금시와 남양주군을 폐지하고 통합시를 신설하면서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개편되었다.

행정동명과 법정동명이 같으며, 자연마을로는 군장·동막·무대·양곡·어룡 등이 있다.

남양주시의 중심부에 속하며 도시지역과 녹지공간이 공존한다. 개발제한구역, 문화재보호구역, 과밀억제권역 등 각종 규제로 도시기반 형성이 미흡하다. 남양주시청, 금곡역, 금곡우체국, 남양주실내체육관 등이 있으며, 경춘선 철도와 46번 국도가 가로지른다.

문화재로는 홍릉·유릉(사적 207)과 금곡리 고분이 있다. 홍릉은 조선 제26대 고종과 그의 비 명성황후의 능이며, 유릉은 제27대 순종과 그의 비 순명황후의 능이다. 홍릉과 유릉은 종래의 왕릉제도에 비하여 특이한 양식을 띤다. 종래의 정자각(丁字閣) 대신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寢殿)을 세웠고, 그 앞 양쪽으로 문무석(文武石)을 세워 홍살문까지 기린·코끼리·해태·사자·낙타·말의 순으로 석수(石獸)를 세워 놓았다.

참조항목

남양주시, 유릉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남양주시 금곡동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행정동 예전에는 미금면으로 불렸던 지역이었으나 1995년 남양주시로 편입되면서 금곡동으로 변경되었다. 남양주시의 중심부에 속하며 도시지역과 녹지공간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금곡동은 "골짜기 곡"을 지명으로 사용할 정도로 주변에 산지가 넓게 분포하여 자연친화적인 곳이다. 행정의 중심인 남양주시청이 중심부에 자리하며 학교와 병원 상업시설들이 많다. 교통은 남쪽 인근한 곳에 도시고속도로와 연결되어 편리하며 중심부에는 경춘로가 지난다. 문화유적으로는 대한제국의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묘인 홍유릉이 유명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