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덕동

신공덕동

[ Singongdeok-dong , 新孔德洞 ]

요약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법정동.
마포구 신공덕동과 남산

마포구 신공덕동과 남산

위치 서울특별시 마포구
면적(㎢) 0.24㎢ 
행정구분 법정동
행정관청 소재지 서울 마포구 만리재옛길 84 (지번) 공덕동 29-6, 공덕동 주민센터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공덕동(일부)이 관할한다. 북쪽과 서쪽으로는 공덕동, 동쪽으로는 용산구 효창동, 남쪽으로는 도화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0.24㎢로 마포구 전체 면적의 1.0%를 차지한다.

역사

조선시대 초기에는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한 지역이었다. 영조 때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성외)의 신창계・공덕리계에 속했고, 갑오개혁 이후에는 한성부 서서(西署) 용산방에서 신창내계의 신창내, 공덕리계의 흥례동・신동 지역이 되었다. 1911년 4월 1일 경성부 용산면 신공덕리가 되었고,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 신공덕리로 개편되었다. 1936년 4월 1일 다시 경성부에 편입되어 신공덕정으로 개칭되었으며, 1943년 6월 10일 구(區)제도의 실시로 서대문구 관할의 신공덕정이 되었다. 1944년 10월 23일 신설된 마포구로 편입되었고,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되어 서울시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신공덕정에서 신공덕동으로 개칭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마포구 신공덕동이 되었다.

신공덕(新孔德)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에 있던 공덕리(孔德里)와 인근에 새로 생긴 신동(新洞)을 합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현황

2000년대 이후 들어선 아파트 단지들이 동의 대부분 지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효창공원 주변 일대에는 단독주택과 다세대 주택이 밀집하여 분포한다. 한편, 만리재로 주변으로 많은 오피스텔 건물이 들어서 있다.

남쪽으로 백범로, 남북으로 만리재로 등이 신공덕동을 지난다. 철도 시설로는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이 공덕역을 경유하고, 5호선과 공항철도로 환승가능하다.

주요 상업시설에는 이마트 마포점 등이 있다.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로는 마포문화원, 마포종합사회복지관 등이 있다. 

참조항목

마포구

역참조항목

만리재길, 백범로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