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예술

고려의 예술

청자유병

청자유병

고려예술은 귀족적·불교적 색채를 띤 미술이 성행했으나, 석탑·석등·불상 등 조각분야는 퇴화되고, 귀족들의 생활기구를 중심으로 한 자기·나전칠기·불구(佛具) 등이 발달하였다. 예술품 중 상감청자(象嵌靑瓷)는 세계적 공예품으로 민족예술의 정수이다. 자기의 발달을 보면 11세기 예종·인종 때에 이르러 송자(宋瓷)의 영향을 벗어나 장식이 없는 푸른 하늘색과 선(線)이 특징인 비색청자(翡色靑瓷)를 제작하였다. 12세기 중엽 의종 때에 이르러 고려인의 독창적 재능을 발휘한 자기가 상감청자이다. 상감청자는 비색청자의 표면에 양각(陽刻)·음각(陰刻)의 무늬를 넣고 백토와 흑토를 그릇 표면에 새겨넣는 방법으로 완성한 것이다.

고려 전기의 건축은 왕궁(滿月臺)·사찰(興旺寺)·귀족의 저택 등 귀족적·불교적인 건축에 치중하였으나, 말기에는 고려의 독특한 기상을 나타내고 있다. 건축의 특색은 층단식으로 외관이 높고 웅대하며, 건물의 기둥은 안쪽을 약간 기울게 하였고, 기둥을 주심포형(柱心包形)으로 하여 안정감을 보였으며, 태양광선의 이용법도 채택하였다. 대표적 건축으로 영주 부석사(浮石寺)의 무량수전(無量壽殿), 안동 봉정사(鳳停寺)의 극락전(極樂殿), 예산 수덕사(修德寺)의 대웅전(大雄殿)이 현존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고려시대의 석탑은 정돈된 형태를 중시하지 않는 양식이 유행하여 안정감·정돈미가 무시되고, 탑의 형식이 다양화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1020년 현종 때 만든 신라계통의 양식인 현화사(玄化寺) 7층석탑, 광종 때 만든 송나라 때의 모형인 월정사(月精寺) 8각 9층석탑, 충목왕 때 나라의 영향을 받아서 만든 목조형(木造形) 양식인 경천사(敬天寺) 10층석탑이 유명하다. 그 밖에도 1009년의 예천(醴泉) 개심사(開心寺)의 5층탑, 1021년의 흥국사(興國寺)의 탑, 1022년의 제천(堤川) 사자빈신사석탑(獅子頻迅寺石塔) 등이 있다.

부도(浮屠)로는 신종(神宗) 때의 지광국사현묘탑(智光國師玄妙塔:강원도 원성군 법천사)과 태조 때의 홍법국사실상탑(弘法國師實相塔:충북 중원군 정토사)이 대표적 걸작으로 현재 경복궁 안에 있다.

불상(佛像)으로는 부석사 무량수전 안에 있는 소조여래상(塑造如來像)은 목조좌상(木造坐像)인 아미타여래상으로 신라불상 형식을 계승한 고려시대 제일의 걸작이다. 이 밖에도 967년에 세운 은진미륵(恩津彌勒), 충주(忠州)의 철불좌상(鐵佛坐像)이 있다. 이 철불은 양 팔이 없어졌으나 아담하고 균형이 잘 잡혀 있다.

범종(梵鐘)으로는 천흥사범종(天興寺梵鐘:덕수궁 소장), 수원의 용주사 범종(龍珠寺梵鐘), 탑산사 범종(塔山寺梵鐘:해남 대흥사 소장) 등이 있는데, 신라시대의 양식을 계승한 종이다. 또한 연복사 범종(演福寺梵鐘)·조계사 범종(曹溪寺梵鐘) 등이 있고, 일본 등지에도 20여 개의 고려범종이 있다고 한다.

고려시대의 석비(石碑)로 남아 있는 것은 937년에 세운 해주의 광조사 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廣照寺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 940년의 원주 흥법사 진공대사탑비(興法寺眞空大師塔碑)와 강릉의 보현사 낭원대사오진탑비(普賢寺朗圓大師悟眞塔碑), 943년의 충주 정토사법경대사 자등탑비(淨土寺法鏡大師慈燈塔碑), 975년의 여주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비(高達寺元宗大師慧眞塔碑), 1017년의 정토사 홍법대사실상탑비(淨土寺弘法大師實相塔碑) 등이 있다.

그리고 남아 있는 석등(石燈)으로는 은진(恩津)의 관촉사석등(灌燭寺石燈), 회양(淮陽)의 정양사석등(正陽寺石燈), 나주 서문내석등(西門內石燈), 신륵사 보제석종전석등(普濟石鐘前石燈), 개풍의 공민왕현릉비정릉석등(恭愍王玄陵妃正陵石燈)이 있다.

당간(幢竿)으로는 청주 용두사(龍頭寺)의 철당간(鐵幢竿), 나주 동문 밖의 석당간(石幢竿)이 유명하며, 당간지주(幢竿支柱)로는 남원의 만복사(萬福寺)와 천안의 천흥사(天興寺) 옛터, 홍천 희망리(希望里)와 춘천 근화동(槿花洞)의 것이 유명하다.

【그림과 글씨】 그림은 국초 이래 화가 양성을 위하여 도화원(圖畵院)을 설치하였다. 대표적 화가로는 《예성강도(禮成江圖)》의 이령(李寧),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의 이광필(李光弼),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의 공민왕, 혜허 등이 유명하다.

전하는 작품으로는 《천산대렵도》 《음산대렵도(陰山大獵圖)》, 이제현(李齊賢)의 초상화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안향(安珦)의 초상화가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있고, 혜허의 양유관음상이 일본에 있다. 벽화로는 모란과 들국화를 그린 예산 수덕사의 벽화와 사천왕상과 보살상을 그린 부석사 조사당의 벽화가 현존한다. 개풍군 수락암동(水落岩洞) 및 장단군 법당방(法堂坊) 고분의 벽화가 있다.

고려시대의 서체(書體)는 무신 집권기까지는 왕희지체(王羲之體)와 구양순체(歐陽詢體)가 유행하였고, 충선왕 때부터는 조맹부체(趙孟頫體)인 송설체(松雪體)가 유행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되었다. 그 중 유명한 사람은 유신(柳伸)·탄연(坦然)·최우(崔瑀)·이암(李喦) ·유공권(柳公權)·한수(韓脩)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