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연

탄연

[ 坦然 ]

요약 고려의 승려이자 서예가이다. 왕사를 지냈으나 곧 은퇴하고 선교(禪敎) 중흥에 이바지했다. 서예에 뛰어나 명필가로도 이름을 떨쳤다. 작품에 《청평사문수원중수비(淸平寺文殊院重修碑》이 있다.
출생-사망 1070 ~ 1159
묵암, 대감
활동분야 종교
출생지 경남 밀양
주요작품 《청평사문수원중수비》

속성 손(孫). 호 묵암(默庵). 시호 대감(大鑑). 경남 밀양(密陽)에서 태어났다. 1085년(선종 2)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여 세자(世子:睿宗)를 보도(輔導)하다가 1088년 몰래 궁중을 빠져 나와 안적사(安寂寺)에서 승려가 되어 광명사(廣明寺) 혜소국사(慧炤國師)의 문하에 들어갔다. 그후 각지를 다니며 참선과 교학을 연구하다가 1105년(숙종 10) (僧科)에 급제, 1106년(예종 1)에 대사(大師), 1109년 중대사(重大師), 1115년 삼중대사(三重大師), 1121년 선사(禪師)에 올랐다.

1123년(인종 1) 첩수가사(帖繡袈裟)를 하사받고 1129년 보제사(普濟寺) 주지로서 법회를 열었다. 1132년 대선사(大禪師)로서 왕의 자문역이 되고 1146년 (王師)가 되었다. 1147년 의종이 즉위한 후에는 예우가 더욱 극진하였으나 1148년 은퇴하고 단속사(斷俗寺)에 들어가 계속 선교(禪敎) 중흥에 이바지했다.

격조 높은 시문을 남겼으며, 서예에도 뛰어나 (金生)에 버금가는 명필로서 (王羲之)의 필체를 따랐다. 국사(國師)에 추증되고 단속사에 대감국사비(大鑑國師碑)를 세웠으나 망실되고 그 탁본이 전할 뿐이다. 작품에 《청평사문수원중수비(淸平寺文殊院重修碑》(春川) 《북룡사비(北龍寺碑)》(醴泉) 《승가사중수비(僧伽寺重修碑)》(서울 삼각산)가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