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의 사회문화

정읍시의 사회문화

전북과학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교육기관

전통 교육기관은 조선시대에 정읍현·태인현·고부군에 속하여 1421년(세종 3) 태인현(지금의 태인면)에 세워진 태인향교(泰仁鄕校)를 비롯하여 정읍현의 정읍향교(井邑鄕校)와 고부군의 고부향교(古阜鄕校)가 정읍 지역의 공공 교육기관 역할을 하였다. 정읍향교와 고부향교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부향교는 1597년(선조 30) 고부면 고부리의 현 위치로 이전하고 정읍향교는 1638년(인조 16) 장명동의 현 위치로 이전하여 지금에 이른다. 이밖에 광해군 때 지금의 칠보면에 건립된 무성서원을 비롯하여 북면의 남고서원(南皐書院), 덕천면의 도계서원(道溪書院)과 동죽서원(東竹書院), 하모동의 고암서원(考巖書院), 소성면의 옥산서원(玉山書院) 등이 사학(私學)의 역할을 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은 1906년 고부군의 고부관아 자리(지금의 고부면 고부리)에 사립 광화학교(匡和學校)가 정읍 지역의 첫 근대학교로 개교하였으며, 광화학교는 1911년 고부공립보통학교로 개편된 뒤 고부제일공립심상소학교·고부대화공립국민학교·고부공립국민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고부초등학교로 이어진다. 또한 1911년 태인군(지금의 태인면 태성리)에서 태인공립보통학교가 개교하여 지금의 태인초등학교로 이어지고, 1912년 정읍군 군내면(지금의 장명동)에서 정읍공립보통학교가 개교하여 지금의 정읍동초등학교로 이어진다. 이밖에 1919년 칠보면에서 개교한 사립보통학교가 무성공립보통학교·칠보공립국민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칠보초등학교로 이어지고, 1920년 천원공립보통학교(지금의 입암면 입암초등학교), 1922년 덕천공립보통학교(지금의 덕천면 덕천초등학교), 1923년 신태인공립보통학교(지금의 신태인읍 신태인초등학교), 1924년 소성공립보통학교(지금의 소성면 소성초등학교), 1925년 산외공립보통학교(지금의 산외면 산외초등학교), 1926년 이평공립보통학교(지금의 이평면 이평초등학교), 1929년 북면공립보통학교(지금의 북면 북면초등학교), 1930년 정토공립보통학교(지금의 정우면 정우초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중등교육기관은 1910년 군산에서 개교한 군산공립실업학교가 이듬해 군산공립농업학교로 개편한 뒤 1923년 지금의 정읍시 수성동으로 이전하여 정읍공립농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이후 정읍농림고등학교·정읍농공고등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정읍제일고등학교로 이어진다. 이밖에 1943년 정읍공립고등여학교(지금의 장명동 샘고을중학교와 상동 정읍여자고등학교), 1946년 신태인중학원(지금의 신태인읍 신태인중·고등학교)과 호남학원(지금의 시기동 호남중·고등학교), 1947년 흑암동 배영중학교, 1948년 태인면 태인중학교, 1951년 고현중학교(지금의 칠보면 칠보중학교)와 시기동 정읍중학교, 1952년 고부면 고부중학교와 태인면 태인고등학교, 화호여자고등공민학교(지금의 신태인읍 인상고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1959년에 개교한 태인여자중학교는 2007년 태인중학교로 통합되었다.

고등교육기관은 1995년 시기동에서 개교한 정읍공업전문대학이 정인대학·전북과학대학을 거쳐 지금의 전북과학대학교로 이어진다. 2020년을 기준하여 교육기관은 전문대학 1개교(전북과학대학교)와 고등학교 13개교, 중학교 19개교, 초등학교 34개교 등이 있다. 학생 수는 1만 3554명으로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5번째로 많다.

공공시설

공공 도서관은 상동의 중앙도서관과 수성동의 기적의도서관, 신태인읍의 신태인도서관 등 시립 도서관 3개소와 태인면의 명봉도서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산하의 정읍학생복지회관 등이 있으며, 이밖에 구룡동의 책향기작은도서관을 비롯한 공립 작은도서관 10여 개소가 조성되어 있다. 2020년을 기준하여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1개소(정읍아산병원)와 병원 4개소, 한방병원 1개소, 요양병원 5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언론 매체로는 주간 신문사 4개소와 인터넷 신문사 6개소 등이 있다.

공공 체육시설은 상평동에 축구장·육상트랙을 갖춘 정읍시종합경기장과 다목적체육관·체력단련실·스킨스쿠버장 등을 갖춘 정읍국민체육센터, 인조잔디구장과 농구장·족구장·배구장·테니스장·인라인스케이트장·론볼장·궁도장(필야정) 등을 갖춘 정읍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수성동에 실내체육관·재활운동실·탁구장·당구장·클라이밍체험장 등을 갖춘 장애인 전용 정읍곰두리스포츠센터와 정읍시실내게이트볼장, 연지동에 정읍체육관, 상동에 청소년문화체육관, 시기동에 정읍천어린이축구장, 신태인읍에 신태인체육관·신태인축구장과 신태인파크골프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문화·전시·공연 시설은 부전동에 정읍사·상춘곡·고현동 향약·우도농악 등 정읍에 연원을 둔 문화자원을 보존·전시·연출하고 문화유산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정읍시립박물관, 시기동에 공연장·전시실·야외공연장 등을 갖춘 정읍사예술회관을 비롯하여 정읍시립미술관·정읍사국악원·정읍농악전수회관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연지동에 공연·전시 시설을 갖춘 연지아트홀과 향토문화를 보존·계승하고 다양한 지역 문화행사를 주관하는 정읍문화원, 신태인읍에 정읍근대역사관, 고부면에 주민들의 문화활동 공간으로 마련된 동학울림센터와 고부역사문화관, 칠보면에 태산선비문화사료관 등이 조성되어 있다. 예술단으로는 시립 국악단 농악단 합창단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

1990년 행상 나간 남편을 오매불망 기다리다 망부석이 되었다는 〈정읍사〉 백제 여인의 부덕(婦德)과 정절을 기리는 정읍사문화제가 시작되어 매년 가을에 정읍사문화공원을 중심으로 채수의례·여인제례를 비롯하여 예술단 공연과 정읍사가요제·청소년가요제·불꽃놀이 등이 펼쳐진다. 1991년에는 정읍벚꽃축제가 시작되어 매년 4월 초에 정읍천어린이축구장 일원에서 시립 예술단 공연과 읍면동 농악경연, 정읍예총 9개 지부가 참가하는 정읍예술제 등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또한 2005년에 시작된 옥정호가을들꽃축제는 옥정호구절초축제, 정읍구절초축제를 거쳐 2018년부터 지금의 정읍구절초꽃축제로 명칭을 변경하고 구절초 꽃이 핀 매년 10월 중에 산내면의 구절초지방정원에서 축하공연과 구절초꽃밭음악회를 비롯하여 다양한 공연·전시·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밖에 매년 5월 중에 덕천면의 학농민혁명기념공원에서 황토현동학농민혁명기념제가 열리고, 8월 중에는 정읍천어린이축구장 일원에서 빛·물·음악이 어우러져 한여름의 무더위를 식히는 정읍물빛축제가 열린다.

문화재

국가 지정 문화재는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정읍 피향정·정읍 천곡사지 칠층석탑·태인 고현동 향약을 비롯한 보물 8점과 사적 5개소(정읍 무성서원·정읍 전봉준 유적·정읍 황토현 전적·정읍 고사부리성·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천연기념물 3점(내장산 굴거리나무 군락·정읍 두월리 청실배나무·정읍 내장산 단풍나무), 국가민속문화재 1점(정읍 김명관 고택) 등이 있다. 이밖에 1890년대에 건립된 독립운동가 나용균 생가와 사당을 비롯한 10점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도 지정 문화재는 장문리 오층석탑·내장사 조선동종·송우암 수명 유허비·태인 동헌·태인향교 만화루·흥선대원군 효유문을 비롯한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26점과 전북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2점(향토술담그기·정읍농악), 유애사·만석보지·우덕리 산성·내장사지·구파 백정기 의사 고택지·불우헌 정극인 묘를 비롯한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19점,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2점(태인 신잠선생 영상·남근석)과 전북특별자치도 등록문화재 1점(정읍 화호리 구 일본인 농장 가옥), 정읍향교 대성전·고부향교 대성전·태인향교 대성전·도계서원·천주교 신성공소를 비롯한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19점 등이 있다. 이밖에 조선 전기의 유학자 김약회(金若晦)가 귀향하여 후학을 양성하던 한정(閒亭)을 비롯한 10여 점이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전북과학대학교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