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의 연혁

평택시의 연혁

팽성읍객사

팽성읍객사

포승읍 희곡리·원정리 등지에서 수습된 밀개·찍개·긁개 등의 구석기시대 유물, 지제동과 원정리 등지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 서탄면 수월암리와 오성면 양교리 등지의 청동기시대 고인돌 등 선사시대에 사람이 거주하였던 유적 및 유물이 확인된다.

지금의 평택시는 조선시대의 진위현(振威縣)과 평택현(平澤縣) 그리고 수원부(水原府)·양성현(陽城縣)·직산현(稷山縣)의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이 지역들은 삼한시대에는 마한의 영역이었으며,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하여 진위 지역은 연달부곡(淵達部曲)·금산현(金山縣)·송촌활달(松村活達) 등으로, 평택 지역은 하팔현(河八縣)으로 불리었다. 475년(장수왕 63)에는 고구려가 남하하여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진위 지역에 부산현(釜山縣)을 설치하였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757년(경덕왕 16) 부산현을 진위현으로 개칭하고 차성현(車城縣, 지금의 청북읍·안중읍 일부)·영풍현(永豊縣, 지금의 송탄)·광덕현(廣德縣, 지금의 현덕면 일부)과 함께 수성군(水城郡, 지금의 수원)의 영현(領縣)으로 삼았고, 하팔현은 평택현으로 개칭하여 탕정군(湯井郡, 지금의 충남 아산)의 영현으로 삼았다.

고려가 개국한 뒤, 940년(태조 23) 수성군이 수주(水州)로 승격되고 차성현은 용성현(龍城縣)으로, 영풍현은 영신현(永新縣)으로 개칭되었다. 983년(성종 2) 지방행정조직이 12목(牧)으로 개편되어 진위현·차성현·용성현·광덕현은 광주목(廣州牧)에, 평택현은 청주목(淸州牧)에 편제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는 전국이 10도(道)로 나뉘어 진위현 등은 관내도(關內道)에, 평택현은 중원도(中原道)에 속하였다. 1018년(현종 9)에는 전국이 5도양계로 재편되어 진위현과 차성현·용성현·광덕현은 양광도(楊廣道)에 속한 수주의 속현(屬縣)이 되었고, 평택현은 천안부(天安府)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진위현에 지방관으로 감무(監務)가 파견되어 속현을 면하였으며, 후에 현령이 파견되었다.

조선이 개국한 뒤, 1398년(태조 7) 충청도에 속하였던 진위현은 경기좌도에 이속되었다가 1413년(태종 13)에 전국 행정구역이 8도(道)로 정비되면서 경기도에 편제되어 현감(縣監)이 파견되었고, 이후 영신현과 송장부곡(松莊部曲)·천장부곡(川莊部曲) 등을 병합하여 영역이 확대되었다. 충청도에 속하였던 평택현은 1505년(연산군 11) 직산현·진천현·아산현과 함께 경기도로 이속되었다가 1506년(중종 1)에 충청도로 환원되었으며,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때 왜적을 섬멸하지 못한 책임으로 직산현에 이속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에 평택현으로 복구되고 현감이 파견되었다. 정조 때 한국 천주교에서 처음으로 세례를 받은 이승훈(李承薰)이 평택 현감을 지냈다. 이후 기존의 행정구역 체제가 유지되다가 1895년(고종 32) 8도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면서 진위현·평택현·양성현은 군(郡)으로 승격되어 천안군·안성군과 함께 공주부(公州府)에 편제되었다. 이듬해에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되어 진위군은 양성군·수원군과 함께 경기도에, 평택군은 충청남도에 편제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원군의 일부와 충청남도에 속하였던 평택군이 진위군에 병합되어 11개 면(북면·서탄면·송탄면·고덕면·병남면·오성면·부용면·서면·청북면·포승면·현덕면)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1931년 병남면이 평택면으로 개칭되었고, 1934년 부용면과 서면이 팽성면으로 병합되어 10개 면이 되었다. 1938년에는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고 평택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1읍 9면으로 재편되었다.

8·15광복 후, 1962년 송탄면 신장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63년에는 송탄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2읍 8면이 되었다. 1972년 평택군 안정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79년에는 팽성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3읍 7면이 되었다. 1980년 평택군 안정출장소가 팽성읍 안정출장소로 변경되었고, 1981년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되어 8행정동(중앙동·서정동·동부동·도원동·지산동·송북동·신장1~2동)으로 편제되었다. 1983년 안성군 원곡면의 용이리·죽백리·청룡리·월곡리와 공도면의 소사리가 평택읍에, 용인군 남사면의 진목리·봉명리 일부가 진위면에 각각 편입되었으며, 1986년에는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되어 6행정동(신평동·서부동·통복동·비전1~2동·세교동)으로 편제되었다. 1987년 화성군 양감면의 고렴리가 평택군 청북면에 편입되었고, 평택군 서탄면의 적봉리 일부가 송탄시 서정동에 이속되었으며, 오성면·청북면·포승면의 일부가 분리되어 평택군 안중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9년 안중출장소가 안중면으로 승격되었고, 1992년 팽성읍 서부출장소가 설치되고 평택시 서부동이 원평동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송탄시·평택시와 평택군이 도농복합 형태의 평택시로 통합되어 1읍(팽성읍) 8면(진위면·서탄면·고덕면·오성면·청북면·포승면·현덕면·안중면) 14행정동(중앙동·서정동·동부동·도원동·지산동·송북동·신장1~2동·신평동·원평동·통복동·비전1~2동·세교동)으로 편제되었으며, 송탄출장소가 설치되어 진위면·서탄면·고덕면·중앙동·서정동·동부동·지산동·송북동·신장1~2동을 관할하고 안중출장소는 오성면·청북면·포승면·현덕면·안중면을 관할하였다. 1996년 동부동이 송탄동으로 개칭되었고, 1998년 도원동이 송탄동에 병합되어 13행정동으로 축소되었다. 2002년 안중면이 안중읍으로, 2006년 포승면이 포승읍으로, 2016년에는 청북면이 청북읍으로 승격되었고, 2019년 비전2동이 비전2동과 용이동으로 분동되어 지금의 4읍 5면 14행정동 체제가 갖추어졌다.

2020년을 기준하여 행정구역은 4읍(팽성읍·안중읍·포승읍·청북읍) 5면(진위면·서탄면·고덕면·오성면·현덕면) 14행정동(중앙동·서정동·송탄동·지산동·송북동·신장1~2동·신평동·원평동·통복동·비전1~2동·세교동·용이동) 27법정동(이충동·장당동·서정동·모곡동·장안동·칠괴동·칠원동·가재동·도일동·지산동·신장동·독곡동·군문동·신대동·통북동·평택동·유천동·합정동·월곡동·청룡동·죽백동·비전동·동삭동·소사동·용이동·세교동·지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