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의군부

대한독립의군부

[ 大韓獨立義軍府 ]

요약 1912년 고종의 밀명을 받고 조직된 독립운동단체.
구분 독립운동단체
설립일 1912년
설립목적 국권반환 촉구, 의병전투 준비
주요활동/업무 국권반환요구서 및 국권반환요구전화 준비
소재지 서울
규모 전국적인 조직

1912년 9월 고종의 밀명을 받은 임병찬(林炳瓚)이 독립의군부 전라남도 순무대 장(巡撫大將)의 이름으로 비밀리에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이다. 일본정부와 조선 총독 및 주요관리에게 일제의 한반도 강점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국권반환을 촉구하는 요구서를 보내는 한편, 일제를 몰아내기 위한 의병전투를 준비하는 것을 활동목표로 하였다.

임병찬은 아들 임응철(林應喆)을 통해 이인순(李寅淳)·곽한일(郭漢一)·전용규(田瑢圭) 등과 협의한 뒤 1912년 12월 호남지방의 의병과 유생을 규합하여 의군부조직을 전라남북도로 확대하였다. 1913년 2월 임병찬은 고종으로부터 다시 전라남북도 순무총장 겸 사령장관에 임명되었다. 1914년 본거지를 서울로 옮기고 전국적인 조직으로 확대하는 한편, 명칭을 대한독립의군부로 고쳤다. 총사령에 추대된 임병찬은 조직을 개편하여, 중앙원수부(中央元帥府) 밑에 병마도총장(兵馬都總長)과 참모총약장(參謀總約長)을 두고, 서울·강화·수원·개성·광주에 오영(五營)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 도·군 단위의 조직을 완성하고 그 대표를 선정함으로써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였다.

1914년 5월 국권반환요구서를 전국의 조직을 통해 일제히 발송하고 360여개 처에서 일제히 국권반환과 일본군 철병을 요구하는 전화를 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5월 23일 단원 김창식(金昌植)이 붙잡힘으로써 조직이 발각되었으며, 주요 임원과 임병찬이 일본경찰에 잡히고 대한독립의군부는 해체되었다.

1910년대 국내외의 민족 운동

대한독립의군부 본문 이미지 1
독립의군부대한광복서전서숙한인사회당대한광복군정부명동학교신흥무관학교대한인국민회대조선국민군단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