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적지형

퇴적지형

[ sedimentary topography , 堆積地形 ]

요약 운반된 암석의 부스러기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으로서, 침식지형에 대조되는 용어이다. 퇴적지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지만, 오래되면 침식을 받아 복잡한 지형을 나타낸다. 충적평야가 있으며, 바람에 의한 사구, 빙하에 의한 퇴석구, 화산지형 등도 포함된다.
사취 (바람아래해변)

사취 (바람아래해변)

침식지형(浸蝕地形)에 대조되는 용어이며,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호저평야(湖底平野) ·해안평야(海岸平野) 등의 충적평야가 있다. 또, 바람에 의하여 쌓인 사구(砂丘), 빙하에 의하여 운반 ·퇴적된 퇴석구(堆石丘), 화산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화산지형 등의 지형도 포함된다. 퇴적지형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평탄하고 원래의 퇴적면을 거의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나 오래된 지형에서는 침식을 받게 되어 많은 침식곡에 의하여 복잡한 침식지형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