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식지형

침식지형

[ erosional forms , 浸蝕地形 ]

요약 하천·파도·빙하·바람 등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
파식대 - 제주 용머리 해안

파식대 - 제주 용머리 해안

하천·파도·빙하 등이 일으키는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을 말하며, 이들의 침식 과정에서 발생한 물질들이 운반·퇴적되어 형성된 지형인 퇴적지형과 상대적인 용어이다. 또한 침식지형과 퇴적지형은 태양에너지를 근간으로 하는 외적작용(exogenous process)에 의해 형성된 지형들로, 조륙·조산운동 등 지구 내부에너지에 의한 내적작용(endogenous process)으로 형성되는 구조지형(tectonic form)과 대비된다. 일반적으로 침식 및 퇴적지형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소지형(micromorphology), 구조지형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대지형(major landforms)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침식지형은 외적작용에 의한 지형 형성의 가장 기본을 이루는 지형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표면의 상당 부분이 침식작용에 의해 생겨난 지형들이다. 예를 들면 하천에 의한 침식지형으로 산지의 골짜기와 침식 후 남은 지형들인 산봉우리, 능선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에 의한 골짜기는 V자형을 이룬다. 또한 풍화층이 두껍게 형성된 곳이 하천에 의해 침식이 폭넓게 이루어지면 넓은 침식분지가 형성되는데, 예로부터 이런 곳에 도시가 형성되어 왔다. 이밖에 하천의 침식에 의한 미지형(微地形)들로 폭포, 포트홀(pot hole) 등이 있다. 

파도에 의한 침식지형으로는 파식대, 해식애, 해식동굴, 시 스택(sea stack) 등이 있으며, 빙하에 의한 침식지형은 U자곡, 권곡, 호른(horn), 즐형산릉(arête), 빙식평원, 바람에 의한 침식지형으로는 삼릉석, 버섯바위, 취식와지(deflation hollow), 사막포도(desert pavement) 등이 있다. 이밖에 석회암의 용식(溶蝕)에 의한 카르스트 지형으로 돌리네(doline), 우발레(uvale), 폴리에(polje), 싱크홀(sink hole), 석회동굴 등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