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람원

범람원

[ flood plain , 氾濫原 ]

요약 하천이 홍수 등으로 범람하여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 하천 주변의 넓고 평평한 지형.
낙동강 하류 범람원으로 이루어진 김해평야

낙동강 하류 범람원으로 이루어진 김해평야

하천이 토사 등을 운반하여 퇴적시키는 작용으로 인해 생겨난 평야를 충적평야(沖積平野)라 하는데, 충적평야의 대표적인 예가 범람원이다. 글자 그대로 하천이 범람하는 것으로 인해 생겨난 평원을 말한다. 하천은 우기(雨期)에 물이 많이 불어나거나 폭우로 물이 범람할 때 토사를 대량으로 운반하게 되므로, 물의 흐름에 의해 운반된 토사들이 하천 주변에 쌓이면서 점차 평평한 평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하천의 주기적인 범람으로 형성된 범람원은 구조적으로 하천의 양안(兩岸) 주변에 상대적으로 토사 퇴적량이 많아 마치 하천을 따라 제방을 쌓은 것처럼 주변보다 고도가 높아지는데, 이를 자연제방이라 한다. 자연제방은 자연적으로 생긴 제방이란 의미로 인공제방처럼 일정한 폭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제방처럼 보이지 않기도 한다. 자연제방 배후로 점토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작은 입자의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데, 자연제방의 높이로 인해 배후에는 퇴적물이 적게 쌓여 상대적으로 고도가 낮은 지대가 형성되며, 이를 배후습지라 한다.

자연제방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굵고 무거운 조립질의 모래 등이 많아 배수가 잘되며, 지대가 높아 홍수 피해가 적어 전통적으로 취락, 혹은 농경지 중 밭농사나 과수원이 발달한 경우가 많다. 반면, 배후습지는 지대가 낮고 점토질 성분으로 배수가 잘 안되어 자연상태의 늪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간하여 논농사를 짓기도 한다. 물론 도시화된 곳이나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에 비해 국토가 좁은 나라 같은 경우, 매립 및 성토 작업을 통해 각종 용지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 배후습지는 대부분 시가지화 되었다.

범람원 본문 이미지 1
범람원범람원자연제방배후습지배후습지

우리나라의 큰 강 하류 부근에 나타나는 넓은 범람원은 빙기(氷期)때 깊게 파인 하곡(河谷)에 후빙기(後氷期)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넓은 퇴적층이 형성되어 생겨난 경우가 많다. 한강, 금강, 영산강 등 하류부에 나타나는 넓은 평야들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모든 범람원이 하천의 범람에 의해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상류에 나타나는 범람원은 범람에 의한 퇴적작용보다 하천의 측방침식에 의해 유로(流路)가 이동하면서 원래 하천의 하상(河床)이었던 곳이 점차 퇴적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이렇게 형성된 범람원에는 자연제방과 배후습지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자갈과 큰 돌들이 퇴적층에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범람원 하천의 중 · 하류 지역에서는 하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범람원을 볼 수 있습니다. 홍수 시 하천이 양안으로 흘러 넘치면 운반되던 토사들 중 무거운 토사들이 하천 가까이에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하천 양안에는 마치 하천을 따라 제방을 쌓은 것처럼 주변보다 지면이 높아지는데 이를 자연제방이라 합니다. 자연제방 배후로는 점토 등의 작고 가벼운 퇴적물들이 쌓이게 됩니다. 자연제방의 높이로 인해 배후에는 퇴적물이 적게 쌓여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가 형성되는데 이를 배후습지라 합니다. 자연제방은 고도가 높고 모래 퇴적물이 많아 배수가 양호하므로 전통적으로 취락 혹은 밭이나 과수원 등이 발달했습니다. 반면 배후습지는 고도가 낮고 점토질 물질이 주로 퇴적되어 있어 배수가 불량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의 늪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며 개간하여 논농사를 짓기도 합니다. 경상북도 김천시 감천면에서 범람원의 형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