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하도

구하도

[ old river channel , 舊河道 ]

요약 과거에는 하천이었으나, 현재는 물이 흐르지 않고 하천의 흔적만 남아 있는 지형.
황간면 한반도지형

황간면 한반도지형

하천은 흐르면서 지반을 침식하기도 하고, 토사를 운반 및 퇴적시키며 지형을 변화시킨다. 특히 자연상태의 하천은 굽이쳐 흐르면서 원심력에 의해 침식력이 강한 바깥쪽은 계속해서 침식이 이루어지고, 안쪽은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려 퇴적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로 인해 하천은 직선이 아니라 굴곡이 심한 곡류(曲流)의 형태로 흐르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하천의 굴곡도는 점점 심해지는데, 곡류가 어느 한계에 다다르면 하천의 가장 바깥 부분들이 서로 만나게 되어 곡류가 절단이 나는 현상이 일어난다. 곡류의 절단이 이루어지면 하천의 흐름이 바뀌게 되는데, 곡류의 절단이 일어난 부분이 하상(河床) 경사가 더 크기 때문에 물은 새로운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렇게 하천 절단에 의해 하천의 물길이 바뀌면 기존에 물이 흐르던 하도(河道)엔 더이상 물이 흐르지 않게 되는데, 이를 구하도라고 한다. 

구하도란 사전적으로 '과거에 물이 흘렀던 길'이라는 의미로, 하천의 유로가 바뀐 초기에는 보통 기존에 흐르던 하천의 물이 남아 호수로 변하게 된다. 곡류를 이루어 흐르던 물길에 형성된 이러한 호수는 마치 '소의 뿔' 형상이라 하여 우각호(牛角湖)라고 한다. 우각호는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수분의 증발 및 지하로의 침투 과정을 거치다가 점차 사라지게 된다. 한편 과거의 하상으로서 주변보다 지대가 낮아 습지대를 형성하기도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농지로 개간하여 논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근래에는 습지의 생태적 중요성 때문에,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기도 한다. 습지의 종류 중 특별히 구하도에 형성된 습지를 '구하도 습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구하도는 하천의 중상류에 주로 나타나는 감입곡류하천이나 하천 하류에 주로 나타나는 자유곡류하천 모두에서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곡류를 하는 하천은 계속해서 측방침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감입곡류하천에서 유로 절단에 의해 구하도가 생기면, 새로운 유로와 구하도 사이에 원추형의 지형이 형성되는데, 이를 곡류핵(曲流核) 또는 미앤더 핵(meander core)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단종이 유배되었던 강원도 영월의 청령포 맞은 편에 있는 지형이 유명하다. 자유곡류하천에서 나타나는 구하도는 주로 범람원 지형 위에 형성되며, 삼각주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일반적인 곡류하천의 측방침식에 의한 유로 절단 이외에도 구하도가 형성되는 경우는, 하천 쟁탈(river piracy)에 의한 유로 변동, 망류하천(網流河川)에서 자주 발생하는 유로 변동 등이 있다. 또한 오늘날에는 인간에 의해 형성되는 구하도도 있는데, 주로 농지 정리 및 홍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직강공사에 의한 유로 변동에 의해서이다.

참조항목

범람원, 복류수, 하천

카테고리

  • > > >
  • > >
  • > > >